[앵커]북한의 도발과 위협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회에선 연일 '안보 정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내일부터 시작될 2주차 국정감사에서도 여야의 충돌이 예상됩니다.자세한 내용,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이경국 기자! [기자]국회입니다.[앵커]국회에선 한미일 연합 훈련을 둘러싼 거친 공방...
자세한 내용,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이경국 기자!네, 앞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한미일 동해 훈련을 '극단적 친일 국방'이라고 비난했는데요.국민의힘은 이 대표가 사법 리스크를 덮기 위해 반일감정을 자극하고 있다며 '나 혼자 살자고 나라를 파는 꼴'이라고 비판했습니다.이어 이는 문재인 정부 비리와 이 대표의 범죄 의혹에 대한 관심을 돌리려는 의도일 거라며, 피의자가 될 바에야 선동꾼이 되는 게 낫다는 심보라고 주장했습니다.현관문을 열어주면 안방까지 들어오는 건 시간문제일 거라고 주장했습니다.이런 가운데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위협이 계속되고 있는데요.내일부터 다시 국정감사 일정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텐데, 여야 모두 총력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요?당장 내일 감사원에 대한 국회 법사위의 국정감사가 최대 격전지가 될 거로 보입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감사원의 서면조사 요청과 권익위원회 등에 대한 표적감사 논란,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이 이관섭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과 나눈 문자메시지 등을 두고 충돌이 불가피해 보입니다.같은 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는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상대로 감사에 나서는데요.국민의힘은 대장동·성남FC 등 이재명 대표를 둘러싼 의혹들을,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 일가의 양평 공흥지구 특혜 의혹을 소환하며 공세를 펼칠 전망입니다.특히 여가부 폐지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민주당이 추진 중인 '노란봉투법'을 두고 신경전이 불가피해 보입니다.[전화] 02-398-8585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北 위협·도발 속 안보 공방 계속...2주차 국감 전면전[앵커]북한 도발과 위협 이어지는 가운데 국회에선 연일 이를 둘러싼 '안보 정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내일부터 시작될 2주차 국정감사에서도 여야의 충돌이 이어질 전망입니다.자세한 내용,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이경국 기자![기자]국회입니다.[앵커]국회에선 한미일 연합 훈련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노동당 창건일 전날 또 도발北, 강원 문천시에서 단거리 미사일 2발 발사 / 레이건호 참가한 연합기동훈련 종료 겨냥해 도발 / 北, 레이건호 입항 뒤 7번째 미사일 도발 감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탄도미사일 2발 발사...노동당 창건일 전 '심야 도발'北,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 비행 거리 350km, 고도 90km…속도는 마하 5 / 日, SLBM 가능성 제기했지만…초대형 방사포 추정 / 한미·한일 북핵 대표, 北 미사일 도발 규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北 도발에 '3각 공조' 탄력[앵커]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윤석열 대통령은 한미 동맹과 한미일 3자 안보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일본과 군사 협력을 우려하는 야권 비판에도 불구하고 3각 안보 공조 의지를 명확히 했습니다.박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현 정부 들어 11차례나 감행된 북한 도발에, 윤석열 대통령이 내놓...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또 탄도미사일 발사...당 창건일 전 '심야 도발'[앵커]북한이 제77주년 노동당 창건일을 하루 앞두고 또다시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올해 들어 처음으로 새벽 시간대 무력 도발을 감행했는데, 한미 군 당국 대응 능력을 다각도로 시험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신준명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자]북한이 지난 6일 이후 사흘 만에 또다시 단거리 탄도 미사일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미사일 발사는 한미 탓'...추가 도발 명분 쌓나?[앵커]북한이 최근 무력 도발의 책임을 한미에 떠넘기는 내용의 담화를 오늘(8일) 하루 잇따라 발표했습니다.추가 도발의 명분을 쌓기 위한 목적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은 최근 한 달 가까이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홍주예 기자입니다.[기자]지난달 말 부산항에 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