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딥시크 '가성비 쇼크'에도…美빅테크, AI에 466조 투자 왜 [팩플]

팩플 뉴스

中딥시크 '가성비 쇼크'에도…美빅테크, AI에 466조 투자 왜 [팩플]
AI빅테크딥시크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1 sec. here
  • 16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65%
  • Publisher: 53%

인공지능(AI) 경쟁을 이끄는 주요 빅테크들이 올해도 AI 투자에 3200억 달러(약 466조 원) 이상을 쏟아부을 예정이다. 가성비를 내세운 중국 생성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에 AI 경쟁의 방향이 ‘저비용·고효율’ 모델 개발로 흐르게 될 거란 전망이 나오지만, 빅테크들은 앞으로 더 커질 AI 시장에 대비하기 위해 AI 인프라에 대규모 자본 투입을 예고한 상황이다.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2위 마이크로소프트(MS)는 데이터 센터 구축 등 AI 인프라에 800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다.

인공지능 경쟁을 이끄는 주요 빅테크 들이 올해도 AI 투자에 3200억 달러 이상을 쏟아부을 예정이다. 가성비 를 내세운 중국 생성 AI 스타트업 딥시크 의 등장에 AI 경쟁의 방향이 ‘저비용·고효율’ 모델 개발로 흐르게 될 거란 전망이 나오지만, 빅테크 들은 앞으로 더 커질 AI 시장에 대비하기 위해 AI 인프라에 대규모 자본 투입을 예고한 상황이다.

무슨 일이야 아마존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올해 AI 인프라 투자에 1000억 달러 이상 지출할 계획임을 밝혔다. 지난해 쓴 돈보다 더 큰 규모다. 앤디 재시 최고경영자는 지난 6일 “ 대부분 AI와 클라우드 서비스 ‘아마존웹서비스’ 등에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2위 마이크로소프트는 데이터 센터 구축 등 AI 인프라에 800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다. 이유가 뭐야?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AI 투자와 관련,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해는 AI에 있어 결정적인 해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수년 동안 핵심 제품과 비즈니스를 통해 역사적인 혁신을 일으켜 미국의 기술 리더십을 확장하겠다”고 적었다. AI 리더십 유지 및 확대를 위해선 대규모 자본 투입이 필수라는 것. 빅테크들의 이같은 판단의 주요 배경은 크게 3가지다.우선, 아직은 AI 인프라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했다는 점이다. 아마존·MS·알파벳 모두 데이터 센터 용량 부족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수익이 더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에이미 후드 MS 최고재무책임자는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는 항상 가용 용량보다 높았다”며 추가적인 데이터 센터 구축의 필요성을 전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AI 빅테크 딥시크 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 MS 구글 알파벳 메타 마크 저커버그 미국 중국 가성비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AI에 718조 투자'…미∙중 패권 3차대전, 韓엔 호재트럼프 'AI에 718조 투자'…미∙중 패권 3차대전, 韓엔 호재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튿날인 21일(현지시간) 미국 내 인공지능(AI) 인프라 건설에 5000억 달러(약 718조원)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이것(AI 기술과 인프라)을 미국에 두고 싶다'며 '여느 때 같았으면 중국이나 다른 나라로, 특히 중국으로 갔을 돈'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트럼프 당선인 신분 때 미국에 1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밝힌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은 이날도 회견장에 트럼프 대통령과 나란히 등장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픈AI 샘 올트먼 'AI 전용 단말기 개발 중…中딥시크 새롭지 않다' [팩플]오픈AI 샘 올트먼 'AI 전용 단말기 개발 중…中딥시크 새롭지 않다' [팩플]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폰을 대체하는 AI(인공지능) 전용 단말기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날 오픈AI는 전문가 수준 분석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AI 에이전트 ‘딥 리서치(Deep Research)’도 공개했다.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일본 방문을 앞두고 진행한 지난달 27일 인터뷰에서 'AI는 컴퓨터와의 접촉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새로운 단말기가 필요하다'면서 이런 구상을 공식화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좋은 시절 끝났다' 월가 'M7 회의론' 확산'좋은 시절 끝났다' 월가 'M7 회의론' 확산AI에 자금 쏟아붓는 M7기업자본지출 규모 1년새 43% 쑥이익성장률은 4분기연속 뚝딥시크 쇼크 겹쳐 주가도 털썩S&P500지수 상승폭 발목잡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팩플] 챗GPT 위협하는 中 딥시크…중국 AI, '가성비' 경쟁력 될까[팩플] 챗GPT 위협하는 中 딥시크…중국 AI, '가성비' 경쟁력 될까딥시크가 공개한 기술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MMLU),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MATH)에서 오픈AI의 추론 모델 o1(오원)과 유사한 성능을 내고, 일부 지표에선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보고서에서 딥시크는 R1이 입력 토큰 100만 개당 0.55달러, 출력 토큰 100만 개당 2.19달러를 쓴다고 공개했다. o1의 경우 입력 토큰 100만 개당 15달러, 출력 토큰 100만 개당 60달러를 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AI칩 통제 확대에...美빅테크 “가장 파괴적 규제” 반발, 왜바이든 AI칩 통제 확대에...美빅테크 “가장 파괴적 규제” 반발, 왜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바이든 행정부의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수출 통제 확대 움직임에 공개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사업 성장이 둔화할 수 있고, 새 규제를 따르는 데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든다고 주장하며 바이든 정부의 수출 통제 계획을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픈AI 최대주주 바뀌나…소프트뱅크 '최대 36조원 투자 논의' [팩플]오픈AI 최대주주 바뀌나…소프트뱅크 '최대 36조원 투자 논의' [팩플]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최대 250억 달러(약 36조원)를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9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 소프트뱅크가 오픈AI에 150억~250억 달러를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FT는 두 회사의 이번 투자 논의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별개로 이뤄지며, 소프트뱅크가 오픈AI와 협력을 위해 궁극적으로 400억 달러(약 57조7000억원) 이상을 투입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3 20:3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