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화웨이 메이트60프로 공개가 ‘언짢은’ 美...더 센 규제책 내놓을까

대한민국 뉴스 뉴스

中 화웨이 메이트60프로 공개가 ‘언짢은’ 美...더 센 규제책 내놓을까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68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0%
  • Publisher: 53%

미 상무부는 화웨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반도체가 당국의 수출 규제를 위반했는지 조사하는 한편, 미 반도체지원법으로 보조금을 받는 기업의 중국내 반도체 공장 확대를 제한하는 가드레일 규정 강화를 시사하고 나섰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반도체 전문연구원은 '중국이 7나노미터(㎚ㆍ1㎚=10억 분의 1m) 칩을 만들었다는 건 미국의 제재 효과가 미약했다는 의미인 만큼, 구형 반도체 제조 장비 수출까지 규제하는 식으로 제재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전 소장은 '중국은 1ㆍ2기 3328억 위안에 이어 3000억 위안 규모의 3기 반도체 펀드를 출시하고 반도체 장비와 소프트웨어에 집중 투자하려 하고 있다'며 '더는 미국 기술에 의존한 반도체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반도체 국산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반도체 규제에도 중국 화웨이가 첨단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폰 ‘메이트60프로’를 보란듯이 출시하면서 미ㆍ중 기술분쟁이 격화될 전망이다. 미 상무부는 화웨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반도체가 당국의 수출 규제를 위반했는지 조사하는 한편, 미 반도체지원법으로 보조금을 받는 기업의 중국내 반도체 공장 확대를 제한하는 가드레일 규정 강화를 시사하고 나섰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지난 19일 “보조금의 단 1센트도 중국이 우리를 앞서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도록 바짝 경계해야 한다”며 “ 몇 주 안에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방중 기간 화웨이가 신제품을 내놓은 데 대해선 “기분이 언짢았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가드레일 규정 강화는 한국 경제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중국에 반도체 공장을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반도체 전문연구원은 “중국이 7나노미터 칩을 만들었다는 건 미국의 제재 효과가 미약했다는 의미인 만큼, 구형 반도체 제조 장비 수출까지 규제하는 식으로 제재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도 “그간 미국의 대중 반도체 봉쇄를 최대 업적으로 삼고 내년 대선을 기대했던 민주당과 조 바이든 정부는 허를 찔린 기분이었을 것”이라며 “더욱 철저한 기술 봉쇄를 추진할 것”이라고 짚었다.

미국은 그간 14나노 이하인 첨단 제품을 중국에서 생산하지 못하도록 기술ㆍ장비ㆍ제품 수출을 제한해왔다. 중국 파운드리 업체 SMIC는 미국이 제재한 극자외선 노광장비가 아니라 기존에 수입해 둔 심자외선 노광장비를 사용해 7나노 칩을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대만 파운드리 회사 TSMC가 2017년 개발한 멀티 패터닝 기술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여러 차례 작업을 해야해서 비용이 많이 들고 수율도 떨어진다.중요한 건 중고장비와 낡은 기술만으로 7나노급 공정을 구현해냄으로써 미국의 기술 봉쇄를 뚫었다는 점이다. 전 소장은 “중국은 1ㆍ2기 3328억 위안에 이어 3000억 위안 규모의 3기 반도체 펀드를 출시하고 반도체 장비와 소프트웨어에 집중 투자하려 하고 있다”며 “더는 미국 기술에 의존한 반도체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반도체 국산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미국이 현재 제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중국의 반도체 자립 생산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1~13일 중국 반도체 기업들을 탐방한 노근창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제재는 여전히 유효했고, 생존 전략 확보를 위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7나노를 구현한 SMIC의 공정은 기술 경쟁력은 있지만 낮은 수율로 인해 시장성은 상당히 떨어진다. 향후 미국의 제재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노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중국의 장비 국산화율이 50%까지 상승하겠지만, 반도체는 특정 공정이 지원되지 않을 경우 나머지 공정도 무의미하다”며 “국산화율이 높다는 게 해외 기술 없이 반도체를 자립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월 FOMC 앞두고 숨죽인 국내 증시…국제유가 연중 최고치 경신 [이종화의 장보GO]9월 FOMC 앞두고 숨죽인 국내 증시…국제유가 연중 최고치 경신 [이종화의 장보GO]국내 증시, 9월 FOMC 앞두고 소폭 하락 WTI·브렌트유 나란히 연중 최고치 경신 감산 우려에 中 수요 증가 전망까지 나와 한수원 美 승소에 원전株 일제히 상승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심윤희칼럼] 고령정치, 노욕과 관록 사이[심윤희칼럼] 고령정치, 노욕과 관록 사이美 정치인 고령화 논란 점화한국도 올드보이 귀환 관심연륜 전수한다면 의미있지만노욕 올드정치에는 우려 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8일 바이든 '탄핵 조사' 첫 청문회…美공화당, '스모킹 건' 내놓을까28일 바이든 '탄핵 조사' 첫 청문회…美공화당, '스모킹 건' 내놓을까미국 공화당 하원의원들이 다음 주 가족의 사업 거래와 관련한 조 바이든 대통령 탄핵조사와 관련한 첫 청문회를 열 예정이다. 공화당은 또 '국세청(IRS) 내부고발자 등의 증언을 토대로 바이든 정부가 헌터의 탈세 문제 관련 기소를 막았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탄핵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실제로 공화당이 탄핵의 주된 이유로 내세우는 '바이든 대통령 차남 헌터의 우크라이나 관련 거래 부당이득' 의혹에 대한 '스모킹 건(결정적인 증거)'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상무 “화웨이, 7나노 반도체 양산 증거 없어”미 상무 “화웨이, 7나노 반도체 양산 증거 없어”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19일(현지시간) 최근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신형 스마트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29 22:4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