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한국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최상단에는 산업현장에서의 사망사고 속보가 ‘중계’...
가끔 한국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최상단에는 산업현장에서의 사망사고 속보가 ‘중계’된다. 사망사고의 날짜와 장소, 경위가 전광판에 무심히도 스쳐간다. 죽고 또 죽는 가운데 기억되는 죽음은 드물다. 여럿에게 애도되던 죽음조차 뒤따르는 다른 죽음에 잊혀지기 일쑤다. 지난 15일은 SPC계열사 공장에서 끼임 사고로 숨진 노동자 박선빈씨의 1주기였다. 다가오는 12월10일은 김용균씨가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숨진 지 5년이 되는 날이다. 그들의 죽음 사이에도 수많은 죽음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 뒤에도 죽음과 사고는 반복되고 있다.
“우리가 김용균”이라 외쳐 만든 중대재해처벌법은 50인 미만 사업장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있다. 중대재해의 80%가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벌어지지만, 경제단체들은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에 따른 경영 부담”을 들어 적용시기 유예를 주장한다. 시행령 개정을 통한 전반적인 법령 후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야당도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법제화하는 데 큰 관심이 없다. 외주화 구조, 비용 문제로 환원되는 안전, 근로기준법상의 차별 문제 등이 제기되지만 정치의 문턱을 넘지 못한다. 정치하는 자들의 눈에는 죽음의 릴레이가 보이지 않는 듯하다. 김훈 작가는 말했다. “죽음의 숫자가 너무 많으니까 죽음은 무의미한 통계 숫자처럼 일상화되어서 아무런 충격이나 반성의 자료가 되지 못한”다고.
다음주 일요일은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참사를 대하는 국가의 태도를 보면 오늘날 우리 정치가 죽음을 어떻게 대하는지 선명히 드러난다. 생명을 살리는 정치도, 애써 죽이는 정치도 아닌 마냥 버려두는 정치. 그들의 죽음이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하도록 황무지에 버려둔 채 침묵한다. 159명의 죽음이 아무런 ‘사건’도 아니라는 듯. 노동자가 몸에 불을 놓고 교사와 대학원생, 전세사기 피해자들이 목숨을 내려놓아도 정치는 요지부동이다. 속수무책으로 죽어갈 뿐인데 사회운동의 불씨도 좀처럼 번질 새가 없다. 민주노총과 사회운동단체들은 오는 11월11일 윤석열 대통령을 심판하고 퇴진시키기 위해 20만명의 시민을 모으겠다고 한다. 반면에 일상화된 죽음에 맞서 20만명을 모을 의지와 결기는 요원하다. 물론 재난과도 같은 죽음의 반복에 대한 최고 책임은 국가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운동은 그간 ‘국가의 부재’에 맞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주문해왔다. 하지만 되돌아온 어떤 대책도 죽음을 막지 못했다. 죽음을 형성하는 중층적·구조적 원인에 근거한 조사나 대책은 더욱 기대하기 어렵다.
결국 사회운동이 응답 없는 정치에 맞서는 유일한 돌파구일 수밖에 없다. 만약 ‘20만명’의 힘이 우리에게 주어진다면, 그런 힘을 모아낼 의지가 있다면 정치의 문턱 앞에 쌓여가는 죽음을 당장 끝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흔들리는 ‘상저하고’ 전망에…추경호표 ‘금고 잠그기’ 경제정책 진퇴양난재정 건전성을 금과옥조로 민간주도 성장을 앞에 내세웠던 ‘추경호’표 성장 전략이 진퇴양난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팔 전쟁] 카이로 평화회의, 공동선언 없이 '빈손' 종료서방-중동, 엇갈린 목소리... 유엔 사무총장 "당장 휴전하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회찬 묘역 앞에 선 정의당 “흔들리지 않고 창당 정신 이을 것”남양주 모란공원서 창당 11주년 기념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 '3마리 천원? 그런거 이제 없어요' 황금빵 된 붕어빵서울지하철 2호선 강남역 4번 출구 앞에 있는 붕어빵 가판대. 〈사진=장연제 기자〉 서울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붕어빵 노점. 붕어빵 가격은 세 마리에 2000원이었다. 〈사진=장연제 기자〉 찬 바람이 불면 생각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시 모인 검은 옷 교사들 “서이초 교사 순직 인정하라”매주 토요일 대규모 도심 집회를 열어온 교사들이 21일에는 대신 기자회견을 열고 서이초 사건 진상규명과 실질적 아동복지법 개정을 거듭 촉구했다. 이날 검은 옷을 맞춰 입고 ‘서이초 진상규명’, ‘아동복지법 실질 개정’ 손팻말을 든 교사 20여명은 서울 광화문광장 앞에 모여 “두 달이 넘는 수사에도 서이초 수사는 혐의 없음으로 마무리에 들어갔고 교권 4법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죽음 문턱 5번, 옥중생활 6번…영욕의 삶 85년, 국민께 감사 ㉘나, 김대중(DJ)은 부시 대통령 취임 47일 만인 2001년 3월 8일 서둘러 미국 워싱턴DC로 달려갔다. 부시 대통령은 '미국 편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할 것인가, 아니면 테러리스트의 편에 설 것인가'라며 양자택일을 국제사회에 강요했다. 나의 대통령 임기 전반기 동안 클린턴 대통령과 함께 추진한 대북 정책을 나의 임기 후반기 동안 부시 정부가 들어와 뒤집어 엎은 점이 지금도 가장 아쉽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