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이 불을 지핀 와인의 인기는 이제 위스키까지 번졌다. 현재 이름난 바에서도 위스키를 구하지 못해 안달이 날 정도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위스키 인기는 싱글 몰트가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칵테일의 기본 재료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전통주 활용하는 등 변신 시도…특급 호텔도 발빠른 행보 포시즌스호텔 서울의 바 ‘오울’의 다양한 전통주 칵테일. 서울뮬, 진토닉, 참외, 폭탄주. 임경빈 어나더스튜디오 실장 이제는 칵테일이다. 코로나 팬데믹이 불을 지핀 와인의 인기는 이제 위스키까지 번졌다. 현재 이름난 바에서도 위스키를 구하지 못해 안달이 날 정도로 시장에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이러한 위스키의 인기는 싱글 몰트가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바에서 즐겨 마시는 칵테일의 기본 재료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먹는 칵테일인 하이볼의 기본 재료는 버번위스키다. 바에서 한두잔 칵테일을 경험했던 사람들이 이제는 집에서도 칵테일을 만들어 먹고 있다. 코로나 상황으로 바에서 먹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 된 것. 과거 음침한 바 구석에서 먹던, 또는 독한 술을 싫어하는 달달한 여성 취향의 술이라는 선입견은 이제 안녕. 칵테일은 현재 한국의 음주문화 지평을 넓히고 있는 일등공신이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시원하게 꿀꺽꿀꺽 마시고 싶을 때는 커다란 잔에 얼음을 가득 넣고 진토닉이나 하이볼, 캄파리 토닉같이 간단한 롱 드링크를, 늦은 저녁에 갑자기 한잔이 당길 땐 올드 패션드 같은 온더록스 스타일이나 사제락·사이드카 같은 밀도 높은 한잔을 만들어 먹는다고. 김씨는 “매일매일 기분과 상황에 맞는 술을 만들어 마실 수 있다는 점이 홈텐딩의 매력”이라고 말했다. 올드 패션드 칵테일. 김윤석 제공 디자인 회사를 운영하는 김준구 대표 역시 소문난 ‘홈텐딩 마니아’다. 그는 “칵테일은 퇴근한 뒤 고생한 스스로에게 주는 한잔의 보상”이라며 “아껴둔 좋은 글라스에 증류주와 탄산음료, 냉장고에 들어 있는 과일 장식 조금이면 하루의 피로가 가신다”고 말했다. 그가 요즘 가장 즐겨 마시는 칵테일은 네그로니와 올드 패션드. 두 칵테일 모두 오렌지가 들어가는데 마침 지난 3월, 오렌지의 계절 관세가 해제되며 부담 없이 양껏 만들어 마시게 되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태일 삶 담은 애니 ‘태일이’를 이제 안방 극장에서 볼 수 있다지난해 12월 극장 개봉 후 장기 상영 이어와...이젠 안방에서 볼 수 있는 기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흔들리는 與 86세대... 정계 은퇴에 '세대 균형 공천' 요구까지민주당의 주류 세력인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정치인들이 안팎의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2030, 절반 가량이 대인관계·과로 스트레스서울 2030, 절반 가량이 대인관계·과로 스트레스 느낀다 서울서베이 손병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2030세대, 행복감 낮아지고 대인관계·재정상태 스트레스 커퇴근시간 서울 지하철 시청역에서 시민들이 지하철을 기다리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에 거주하는 2030세대의 거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D이슈] 서울 2030세대 '대인관계서 스트레스'…첫 공식 조사 봤더니서울에 사는 2030세대의 삶을 들여다본 첫 공식 조사가 발표됐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20대와 30대 인구는 286만 명으로 전체 서울 인구의 30.1%를 차지했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6만 명가량 많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사는 2030, 가장 스트레스 받는 걸로 이걸 꼽았다서울에 사는 20대, 30대에 대한 첫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일자리와 임금, 여가, 주거 환경은 물론이고 청년세대의 고민과 스트레스가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