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이 시국이다 보니 하루 온종일, 때론 자다 깬 새벽에도 지구 반대편 뉴스를 읽는다. 밤사이 수백 명이 죽고, 땅굴을 통해 어딘가로 끌려가고, 또다시 폭격으로 수십~수백 명이 죽었다는 기사를 매일같이 본다. 누군가는 하루에도 몇 번씩 방공호로 대피했다 복귀하길 반복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마실 물조차 없어 지옥 같은 시간을 견딘다고 신문에 쓴다. 이스라엘..
시국이 시국이다 보니 하루 온종일, 때론 자다 깬 새벽에도 지구 반대편 뉴스를 읽는다. 밤사이 수백 명이 죽고, 땅굴을 통해 어딘가로 끌려가고, 또다시 폭격으로 수십~수백 명이 죽었다는 기사를 매일같이 본다. 누군가는 하루에도 몇 번씩 방공호로 대피했다 복귀하길 반복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마실 물조차 없어 지옥 같은 시간을 견딘다고 신문에 쓴다.
이스라엘에서 며칠 전 귀국한 취재원을 만나 저녁을 먹었다. '36만명의 이스라엘 군인들이 이집트 국경에 집결했다'는 문장을 무심히 넘겼는데, 그중 한 명의 아내가 올린 걱정스러운 글과 부부의 사진을 보니 문득 아득해졌다. 이게 지금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는 사실과 내 가족만큼 소중한 누군가의 가족, 누군가의 생명이 위태로운 일이라는 자각에 뒤늦게 '현타'가 왔다.헤어지는 길, 취재원이 해준 마지막 말에 잠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우즈베키스탄에 사는 가영 씨, 아니 김가영 작가님을 '책으로' 만나러 갔다. 마침 얼마 전 사둔 그녀의 책이 도착해 있었다. 올해 서른세 살의 가영 씨는 재외동포문학상을 두 차례 수상한 중증장애 여성 작가다. 세 살 때 희귀병 진단을 받고 30년째 휠체어에 의지하고 있지만,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고통과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저 먼 우즈베키스탄에서, 말 그대로 한 땀 한 땀, 전신마비인 김 작가가 두 손가락만을 움직여 10년 이상 써온 글들이 거기 있었다. 첫 번째 율전동 이야기에서 큭큭 대다 조금 울다, 두 번째 요쉴릭 이야기에서 위로받으면서 하루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서점 베스트셀러에 에세이가 많은 이유가 있었구나 싶다. 뉴스와 SNS로 온갖 자극적인 이야기를 접하다가, 이렇게 진솔한 이야기를 읽으니 정신이 맑아지는 느낌이었다. 방구석에서 가만히 밑줄 긋는 문장을 만나는 그 짧은 시간이, 참 귀하게 느껴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필동정담] '한강뷰' 세금은 얼마'재건축 때 저층에 상업시설을 배치하면, 아파트는 1층에서도 한강 조망이 가능합니다.' 최근 열린 여의도의 한 재건축 주민 설명회. 내용은 단연 '한강 조망권'에 집중됐다. 기존 아파트 7층 높이까지 상가를 배치하고, 그 위에 주거 아파트를 지으면 1층에서도 한강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동별 조합원분 가구는 한강이 보이는 열에 배치하고, 일반분양은 보이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단풍과 첫눈 사이 - 매일경제강신숙 Sh수협은행 은행장 △1961년 △연세대 행정학 석사 △중부기업금융센터 센터장 △강북·강남지역금융본부장 △수협중앙회 신용사업부문 마케팅 부행장 △수협중앙회 지도사업부문 부대표 △수협은행 은행장(2022년~)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 △1974년 △미국 조지타운대 수학과 △한국피앤지 마케팅 부장 △SBS미디어홀딩스 차장 △한국코카콜라 마케팅 이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이에어 매각 본격 착수 - 매일경제삼일회계법인 투자설명서 배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포스코노조 파업 찬반투표 가결 - 매일경제중노위 30일 최종조정 따라55년만에 첫 파업 중대기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