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객에게 초고층 건물은 단골 방문지다. 전망대에서 야경을 보고 고급 레스토랑도 가본다. 사진 촬영 최적 장소는 늘 인파로 붐빈다. 전 세계에 10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은 현재 18곳이다. 중국이 상하이타워 등 7곳으로 가장 많다. 지금도 우한의 추상빌딩 등 6곳이 추가 개발 중이다. 아랍에미리트에는 세계 최고층인 부르즈 칼리파(163층) 등 세 곳이 ..
해외여행객에게 초고층 건물은 단골 방문지다. 전망대에서 야경을 보고 고급 레스토랑도 가본다. 사진 촬영 최적 장소는 늘 인파로 붐빈다. 전 세계에 10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은 현재 18곳이다. 중국이 상하이타워 등 7곳으로 가장 많다. 지금도 우한의 추상빌딩 등 6곳이 추가 개발 중이다. 아랍에미리트에는 세계 최고층인 부르즈 칼리파 등 세 곳이 있다. 이를 뛰어넘고자 사우디아라비아는 168층 높이의 제다타워를 개발하고 있다.
땅값이 비싼 도심에 짓는 초고층 건물은 토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금융 등 특정 분야의 기업들이 몰려 비즈니스 허브 역할을 하며 경제활동을 촉진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상 단계부터 준공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돼 '마천루의 저주'라는 용어도 생겼다. 경기 상승기에 건축 구상에 들어가지만, 한창 공사 중이거나 준공 무렵에는 경기가 식기 때문이다. 자금난에 내몰린 시행사가 사업을 중단하거나, 사무실 임대가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다. 한국은 인허가 위험도 뒤따른다. 잠실 롯데월드타워는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에 성남 비행장의 활주로 방향까지 조정하고 허가됐다. 부산 엘시티는 용도변경 특혜 등 논란에 여러 명이 구속되기도 했다. 삼성동 GBC 개발 방향을 놓고 현대차와 서울시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서울시는 105층 랜드마크 건립을 위해 용적률과 공공기여를 완화했는데, 현대차가 55층 2개로 바꿨다고 불만이다. 현대차는 용적률 기준은 지켰으며 100층 이상 건립은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1·2기 임기를 통틀어 100층 이상 개발계획은 처음이 아니다. 다만 착공까지 간 사례는 없다. 용산 철도정비창 용지는 2007년 150층 개발계획을 밝힌 후 좌절되자, 최근 100층 안팎 개발계획을 다시 세웠다. 마포 상암에는 2009년 133층 빌딩을 추진했지만, 역시 좌절되자 현재 새 사업자를 모집 중이다. 현대차가 105층 계획을 접었을 때 오 시장 심정은 어땠을까. 서울시민이 개발 방향을 공감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랜드마크가 되길 기대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필동정담] 멀리 보는 나라 - 매일경제요즘 금요일 밤이면 유독 우울해진다. 전 세계에서 24시간 터지는 일들을 따라가다 보면, 익사하겠다 싶을 정도로 많은 뉴스가 쏟아진다. 말 그대로 오래된 이야기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들이다. 자고 나면 딴 세상인 정보기술(IT)은 물론이고 정치, 경제, 외교, 문화, 스포츠까지 너무 빠르게 변하는 통에 무엇을 더하고 무엇을 빼서 전할지 매일 고민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필동정담] '21세기 차르' 대관식다이아몬드가 4900여 개 박힌 러시아 제국 황제관을 쓰지는 않았지만, 스트롱맨은 '21세기 차르'로 등극했다. 첩보영화에 매료돼 국가보안위원회(KGB) 요원이 된 가난한 집 소년이 러시아를 30년간 통치할 거라고 예상한 이는 없었을 것이다. 7일 취임식을 갖고 다섯 번째 임기를 시작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72) 얘기다. 3월 대통령 선거에서 8..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남자·사랑꾼이냐, 정면 돌파냐”…고민 커지는 윤대통령 [필동정담]지난달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은퇴 콘서트를 연 ‘가황(歌皇)’ 나훈아씨는 북한을 저격하는 발언으로 또한번 관심을 끌었다. 나씨는 “북쪽을 나라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저긴 이상한 집단이지 나라가 아니다”라고 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혼자만 잘 먹어 살쪘다며 ‘돼지’라고 표현했다. 많은 사람들이 “역시 할 말 하는 상남자”라며 호응했다. 거액의 대기업 회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수 잘못 지적했더니 팬카페서 강퇴 당했다”…냉소와 혐오 키우는 극성팬덤 [필동정담]‘별님, 집에 오실 때까지 기다릴게요.’ ‘나의 가수님, 자책하지 마세요.’ ‘결과에 상관없이 우린 식구입니다.’ 음주 뺑소니 사고 이후 열흘 만에 음주운전을 시인한 가수 김호중 씨의 팬카페에 올라온 글들이다. 그가 무슨 일을 저질렀든 상관하지 않겠다는 맹목적 지지다. 김 씨는 음주운전을 하다 교통사고를 내고도 별다른 조치 없이 현장을 떠났다. 운전자 바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필동정담] 트럼프 '30초 얼음'그간 미국에서 '고령 리스크'로 집중포화를 받았던 이는 81세 조 바이든 대통령이었다. 바이든 대통령의 부통령 시절 기밀문서 유출 사건을 조사한 로버트 허 특검은 바이든을 '기억력은 나쁘지만 악의는 없는 노인'으로 묘사했다. 보고서에 '바이든은 재임 연도를 기억하지 못했고, 장남 보 바이든의 사망 연도도 떠올리지 못했다'는 내용이 담기면서 민주당 일각에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소희씨, 혹시 인플루언서로 이직했나요[연예기자24시]‘대체불가’의 꿈, ‘대처불가’로 낭비하는 골든타임이 아까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