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코로나19 재택치료 중 관할 보건소로부터 안부 전화 두 통을 받았다. 한 통은 사람, 한 통은 AI에게서 걸려온 전화였다. 📝변진경 기자
지난 4월, 코로나19 재택치료 중 관할 보건소로부터 안부 전화 두 통을 받았다. 한 통은 사람, 한 통은 AI에게서 걸려온 전화였다. 먼저 걸려온 전화의 발신자는 관할 보건소 공무원이었다. “변진경님 몸은 좀 어떠세요?” 아마도 수백 번째 묻는 ‘할당’ 재택치료자의 안부였을 것이다. “열은 나세요?” “식사는 잘 하시나요?” 문장은 매우 따뜻한 텍스트인데, 묻는 목소리에는 꽤 많은 피로함과 약간의 짜증스러움이 배어 있었다. 그런데 참 이상한 일이었다. 그 형식적인 전화를 받고도 울컥 감정이 동요된 것이다. 왜, 아프면 괜히 서럽지 않은가. 온 식구가 한꺼번에 걸려 나보다 더 아픈 가족을 돌보느라 내 몸 상태는 신경 쓸 겨를도 없었는데 누가 내 안부를 물으니 그게 그렇게 고맙고 반가웠다. 그는 단지 담당 업무를 처리하고 있을 뿐이었겠지만, 나에게는 어쨌든 위로가 되었다. 며칠 뒤 걸려온 전화의 발신자는 AI였다. 젊고 상냥한 여성의 목소리가 내 안부와 건강 상태를 물었다.
그녀는 더할 나위 없이 친절했다. 피곤과 짜증이 목소리에 배어 있지도 않았다. 사람이 아닌 건 알겠지만 어쨌든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분명 사람과는 달랐다. 미묘한 기분이었다. 뭐랄까, 조미료 맛이 듬뿍 느껴지긴 하지만 맛은 괜찮은 음식을 먹고 느끼는 만족감 혹은 찜찜함이랄까. 그때 느낀 마음속 혼란을 토대로 얼마 전 AI와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기사를 마감했다. 과로에 찌들어 불친절해진 사람 사회복지사가 나을까, 무한정 감정노동을 할 수 있는 AI 사회복지사가 나을까? 로봇에게라도 돌봄을 받는 것이 나은가, 아무에게도 돌봄 받지 못하는 것이 나은가? 기술의 발전은 이 두 가지 선택지를 선명하게 대립시킨다. 그러다 문득, 또 다른 선택지가 점점 시야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 일을 하는 사람의 수를 늘리는 것. 업무의 수요에 비해 노동자의 공급이 적다면, 그 일의 보상을 늘리는 것.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봉현, 전자발찌 끊고 잠적…전날 이종필은 징역 20년 받았다 | 중앙일보1조 6700억원대 라임자산운용 사기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봉현 전 회장이 잠적했습니다.\r라임 김봉현 잠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암투병 서정희, 삭발 모습 공개...'내 몸을 건축하는 중' | 중앙일보'가발을 벗고'라고 적으며 자신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서정희 유방암 투병 삭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19 신규확진 8981명…98일만에 '1만명' 밑돌아서울의 한 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사진=연합뉴스〉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석 달여 만에 1만 명 밑으로 떨어졌습니다.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걸려도 일합니다, ‘K-직장인’이니까···코로나19로 ‘아프면 쉴 권리’가 수면 위로 올랐지만 여전히 직장인들에게는 ‘꿈 같은 얘기’다. 코로나19에 확진된 직장인 10명 가운데 3명은 격리 기간임에도 일을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시다 日총리, 코로나 감염…아프리카개발회의 참석 취소(종합3보)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여름휴가 복귀를 앞둔 21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