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유네스코 분담금 지급을 거부하며 유네스코를 압박했다. 결국, 유네스코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등재를 2017년 보류했고, 이후 일본은 분담금 지급 결정을 내렸다. 일본의 산업유산 정보센터 약속 위반 논란 중에도 유네스코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
조기원 도쿄 특파원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진지하게 받아들여서 우리나라가 약속한 조처를 포함해 성실히 이행해왔다. 산업유산 정보센터를 약속대로 2019년도 회계연도 안인 오늘 일반 공개했다. 2015년 국제사회에 약속했던 스테이트먼트도 동 센터 안에 안내판으로 전시해놓고 있다.” 조선인이 강제노동을 당한 것으로 악명이 높은 하시마를 포함한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에 대한 전시 시설인 ‘산업유산 정보센터’를 일반 공개하기 시작한 15일. 오카다 나오키 일본 관방 부장관은 오후 정례 기자회견에서 산업유산 정보센터 전시 내용에 일본인과 조선인의 “차별은 없었다” 같은 전시가 포함된 점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약속을 지켰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오카다 부장관은 전시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생각도 없다고 밝혔다. 시계를 2015년 7월로 되돌려보자.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던 때다.
희생자를 기리는 시설이라며 일본 정부가 만든 시설이 산업유산 정보센터이기 때문에, 이 센터는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에 대한 단순한 홍보시설이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오카다 부장관은 2015년 사토 일본대사가 했던 발언이 안내판에 적혀 있으니 약속을 지켰다는 말장난 같은 주장을 폈다. 발언은 산업유산 정보센터 내부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 등재 과정을 기재한 안내판 맨 아래에 적혀 있을 뿐이었다. 일본 정부가 억지 주장을 굽히지 않는 배경에는 유네스코의 미온적 태도가 있다. 유네스코 전체 예산 중 22%는 원래 미국이 부담해왔으나, 미국은 2011년부터 팔레스타인 정회원국 가입을 비판하며 분담금을 내지 않았고, 2019년에 아예 탈퇴했다. 2019년 기준으로 일본은 중국에 이어 유네스코 분담금을 두 번째로 많이 배정받은 국가다. 이 때문에 유네스코가 일본 눈치를 본다는 비판이 나온 지도 오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추가 행동 자제'…美, 아직은 남북 문제로 거리 두기이렇게 북한이 우릴 향해 위협 수위를 높여가면서도 계속 신경을 쓰는 곳은 아마 미국일 것입니다. 어떤 반응이 나올지 아마 살피고 있을 텐데, 이 내용은 워싱턴 특파원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