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까지는 '주로 보수 정당을 찍고 가끔은 진보 정당 찍는' 구도였다. 불평등 해소에 진척이 없자 ‘성장’ 일변도 논리 역시 설 땅이 좁아졌다. '주로 진보 정당을 찍고 가끔은 보수 정당 찍는' 시대로 가는 건가. - 최훈 칼럼,보수,보수 정당,온정적 보수여야,보수 정치,국민의힘,진보 정치,보수주의,보수정당
“우리 당이 시키는 것 반대로만 했더니 당선되더라. ‘이·조 심판’ 꺼내지도 않았고 당이 내려보낸 현수막은 단 한 번도 안 걸었다.” 총선 뒤의 충격적인 이 토로는 국민의힘 험지인 서울 도봉갑에서 생환한 김재섭 당선인의 얘기다. 참 슬픈 보수 정치 의 현주소다.
여기까지라면 ‘꼰대’ 면하기가 쉽진 않겠다. 보수의 진정한 강점은 이후의 치열한 논박과 진화다. “사회가 유기체라면 보존을 위해서라도 변화와 개혁이 필수다. 어떤 생물체도 변화 없이 생존 없다. 혁명당하기보다 스스로의 변화가 더 낫다. 건강 잃은 사회적 약자를 방치하면 유기체 전체의 생명도 위태롭다. 그러니 약자들 보듬어 치유할 따뜻한 온정적 보수여야 한다. 뭘 버리고 뭘 지켜 계승할지 고민하라. 상대가 더 훌륭하면 베끼는 데도 주저말라. 이념에의 집착이 약한 건 보수의 강점이다. 유연하지만 조심스럽게 숙고하는 개혁, 그게 보수다. 사랑하기 위해서라도 우리의 나라는 사랑스러워져야 한다.”
보수 보수 정당 온정적 보수여야 보수 정치 국민의힘 진보 정치 보수주의 보수정당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최훈 칼럼] 분노와 심판은 또 다른 기대다각자의 렌즈로 판단한 다수 민심은 정권 심판이었다. 다수 지지를 받는 의대 증원 역시 진정한 대화와 설득의 이슈 관리 부족에 '독선'의 역풍에 직면해 있다. 그 시점 의대 증원 문제를 유연하게 풀어낼 결단과 함께, 신속히 이 대사·황 수석 문제를 수습해 민심을 다독여야 했다. - 최훈 칼럼,분노,심판,국민 소통,강서구청장 선거,윤석열 정권,공정,의대 증원,이종섭,용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은 과연 임기를 다 채울 수 있을까?[4.10 총선 칼럼] 총선 결과가 가져온 여당과 윤석열 정부의 위기 그리고 야당의 기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 궁지로 몰아넣었던 '고추 총선'... '대파 총선' 결과는?[4.10 총선 칼럼] 박정희 정권 몰락에 기여한 '고추 파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생 제치고 머슴이 의병장으로 추대[박도 칼럼 제16화] 전남 보성의 안규홍 의병장 전적지를 찾아가다 (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호남 의병사에 금자탑을 세운 '담살이' 의병장[박도 칼럼 제17화] 전남 보성의 안규홍 의병장 전적지를 찾아가다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애 첫 투표' 고3 아이들의 촌철살인, 너무 적확했다[4.10 총선 칼럼] 고등학생 유권자는 어떤 기준으로 투표했을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