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의 이야기는 얼마 뒤 미국 국립보건원 등을 통해 공개된 논문에서 ‘희망이 언제 헛된 것일 수 있는지’를 의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주요 사례로 제시됐다. '헛된 희망 현상’을 희망이 가져다주는 심리적 효능의 부작용으로 간주한 논문은 '헛된 희망이야말로 복지의 감소, 개인·사회적 이익 침해, 의료에 대한 신뢰 약화 등 무수한 해악을 수반한다'며 잘못된 희망을 퍼뜨리거나 그에 동조하는 비과학적 행위에 대한 책임을 환기한다. '말기 환자 소생술, 무익한 치료 등 환자나 가족의 비현실적인 요구에 의료진이 목소리를 내지 않음으로써 ‘헛된 희망에 따른 해악’이라는 피해를 유발한다'(2020, 『헛된 희망과 의학의 충돌』).
영화는 80대 고령에 파킨슨병을 앓는 은심과 고된 노동으로 허리가 망가져 대소변 가리기도 어려워진 금순 두 친구의 ‘세상 소풍’ 이야기를 통해 존엄사라는 묵직한 화두를 우리에게 던진다. 초고령화시대 사회적 고민을 잘 녹여내면서 저예산 독립영화임에도 34만 관객의 마음을 움직여 손익분기점을 훌쩍 넘겼다고 한다.
존엄사는 절망 속 희망 존속의 문제와 맞닿는다. 파국이 뻔해 보일지라도 희망의 끈은 절대 놓지 말아야 하는 걸까, 아니면 희망의 노예 상태에서 탈출해 인생 나들이의 마지막을 겸허히 받아들이는 게 현명한 처사일까. 쉽게 답하기 어려운 딜레마 같은 물음이 꼬리를 문다. 몇 해 전 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영국 아기 ‘찰리 가드’ 사례는 후자에 힘을 실어준 결정적 사건이었다. 넉 달 전 한국을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로 묘사해 관심을 끈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유튜버 마크 맨슨은 ‘엉망진창인 세상사에서 벗어나려면 희망을 버려라’라는 도발적 이슈를 제기했다. 과도한 희망을 상정해 놓고 ‘행여 이루지 못할까’ 걱정과 불안에 시달리지 말고, 헛된 희망이라는 환상을 걷어내라는 것이다. “희망은 파괴적이다. 희망은 현재 상태를 거부하는 것에 의존한다”. 과욕·과신으로 작심삼일 같은 어리석음을 되풀이하지 말라는, ‘헛된 희망 증후군’에 대한 처방인 셈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대근 칼럼]대통령을 위한 변명노태우에서 윤석열까지 민주화 이후 역대 대통령 권력의 크기는 시간의 흐름 따라 줄었다. 노태우·김영삼·김대중은 집권당 총재를 겸하면서 당을 지배했다. 다음 대통령들은 일개 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용 “AI 악용 최소화해야···접근성·포용 강화할 것”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인공지능(AI)을 만들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전날 열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에 의한, 대통령을 위한’ 거부권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LG전자가 세계 곳곳에 나무 심고, 꿀벌 번식 돕는 이유LG전자는 세계 각지에서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비전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실천하고 있다고 28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본 주도 세계화'에서 '주권 기반 다극화'로 진화'세계를 보는 새로운 시선 '다극화포럼' 창립 및 심포지움 개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채 상병 특검법 거부권 땐 27~28일 ‘재표결’ 예상…여권 이탈표에 통과 달려김진표 국회의장이 2일 여당이 반대하는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채 상병 특검법)을 본회의에 상정해 표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