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시장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대해 '너무 앞서나갔다'고 평가하며 '이로 인해 부동산 ...
민선희 기자=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시장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대해"너무 앞서나갔다"고 평가하며"이로 인해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가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이 총재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대다수 금통위원은 현재 당면한 물가와 금융안정 상황을 고려해볼 때 지금 시장에 형성된 금리 인하 기대는 다소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그러면서"한은이 유동성을 과도하게 유입한다거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 잘못된 시그널을 줘서 주택가격 상승을 촉발하는 그런 정책 실수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에 금통위원 모두 공감하고 있다"라고도 덧붙였다.이 총재는"이제는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 전환을 할 준비를 하는 상황이 조성됐다"며 금리인하 '깜빡이'를 켰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저희는 시장이 조금 너무 앞서가는 것이 아닌가, 그로 인해 주택가격 상승 기대에 큰 역할을 한 것이 아닌가 해서 유심히 바라보고 있다. 금통위원들과 논의해봤는데, 저희가 주택 가격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는 없더라도 한은이 유동성을 과도하게 유입한다거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 잘못된 시그널을 줘서 주택가격 상승을 촉발하는 그런 정책 실수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에 금통위원 모두 공감하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안정 추세를 보이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변화고, 예상했던 바와 부합하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지난 5월에는 아직 깜빡이를 켠 상황이 아니라 금리 인하 준비를 위해 차선을 바꿀지 말지 고민하는 상태라고 말한 바 있다. 현 상황은 물가 상승률 안정 추세에 많은 진전이 있었던 만큼, 이제는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 전환을 할 준비를 하는 상황이 조성됐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창용 '금리인하 너무 늦으면 내수 약화'… 조기인하론 '솔솔'한은 '피벗 시점' 촉각'물가 확신 들 때까지 긴축'겉으론 매파적 신호 보냈지만'금리 빅스텝 풍랑 잦아들어'인플레 정점 지났다 판단한듯'천천히 서둘러라 원칙 따라세심하고 균형있게 판단'일각선 '美 앞서 8월 인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꿈틀대는 집값·전셋값, 부동산 시장 불안 잘 관리해야그 결과 지난달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1년 전보다 4% 이상 올랐다. 부동산 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7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전세 매물(2만8238건)은 1년 전보다 19.1% 감소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2017년부터 올해까지 약 87만8000호의 주택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며 '이런 주택 공급 감소세가 이어진다면 2025~2026년 집값 폭등이 다시 올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이 과장으로만 들리지 않는 이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문일답] 검찰총장 '검사 탄핵, 법치주의 국가서 해외토픽감'[일문일답] 검찰총장 '검사 탄핵, 법치주의 국가서 해외토픽감' -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페이 덕에…간편결제 작년 17조 늘었다시장 규모 148조원으로 '껑충'네이버·카카오·페이코 등 포함주요 4개사 간편결제 이용 급증삼성페이 비중 시장 절반 차지카카오도 4월부터 연동 예고후불결제 서비스는 이용 저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값 들썩이는데 불안하네”...역대 두 번째로 아파트 착공 최저수도권 2만1000세대, 지방 1만6793세대 착공 공급 감소로 국지적인 집값 상승세 나타날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창용 '물가둔화 이어질것 부동산 PF 연착륙 가능성'韓銀 ,국회 기재위 업무보고금리인하 기대감에 집값 상승DSR 강화 방향으로 가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