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력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이태원 핼러윈 참사’를 두고 한국이 27년 전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를 겪고도 비슷한 사고를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유력일간지 워싱턴포스트가 ‘이태원 핼러윈 참사’를 두고 한국이 27년 전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를 겪고도 비슷한 사고를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WP는 4일 ‘이태원 핼러윈 참사, 1995년 삼풍 붕괴의 유령을 소환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삼풍 이후에도 한국은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일각에서 제기된다”고 보도했다. WP는 1995년 502명이 숨진 상품 백화점 붕괴사고에 대해 “현대화의 열망 속에 건설업자와 공무원들이 안전조치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면서 “한국이 초고속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무엇을 용인해왔는지 보여준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WP는 당시 삼풍백화점에는 사고 직전까지 붕괴 조짐이 차고 넘쳤는데도 백화점 경영진이나 관련 당국 공무원들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사고 이후에는 사회 지도층이 연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면서 당시 건축물 안전에 대한 정부 감독이 강화되고, 과실치사에 대한 처벌 강도가 높아지는 등 제도적 보완이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150여명이 숨진 이태원 참사도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WP는 삼풍 참사가 한국의 고도 경제성장에 경종을 울렸다면, 이태원 참사는 한국이 문화 중심지로서 전 세계에 존재감을 높이던 중에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참사 장소였던 이태원이 한류 문화의 중심지였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WP '삼풍 참사 27년…한국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냐는 의문 야기'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미국 유력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 한국이 27년 전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를 겪고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핼러윈 참사]서울광장 합동분향소 ‘사고 사망자’→‘참사 희생자’로 명칭 뒤늦게 바꿔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핼러윈 참사 합동분향소 명칭이 국가애도기간 마지막 날인 5일 바뀌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핼러윈 참사]참사 당일 119 첫 신고, 밤 10시15분 아니었다···“이전에 1건 더 있었다”이태원 핼러윈 참사 당일 119신고가 처음 접수된 시간은 밤 10시15분으로 알려져왔으나, 실제로는 이전에 17건이 더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핼러윈 참사]유승민, 헌법10조·추모곡 올리고 “무거운 책임”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이태원 핼러윈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국민애도기간 마지막 날인 5일 ‘대한민국 헌법 10조’와 추모곡을 올리고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이태원 경찰기동대 필요' 직보 받은 서울청장... 증원은 없었다서울경찰청장이 ‘이태원 참사’ 전 추가 경찰력 배치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보고를 받고도, 경비 부서가 난색을 표하자 투입 지시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