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삼청동 현대화랑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 구상회화 4인전: 윤중식, 박고석, 임직순, 이대원’(23일까지)을 보며 그 말이 떠오른 것은 우연이 아니었습니다. 윤중식(1913~2012) 역시 굵은 윤곽선과 강렬한 색을 썼지만, 그의 작품은 힘보단 온기를 전한다는 점에서 결이 또 다릅니다. 한편 임직순(1921~1996)에게 생명력 탐구의 대상은 자연 풍경, 꽃과 여인이었습니다.
2023년 영국 출신의 세계적인 화가 데이비드 호크니 를 서면으로 인터뷰했을 때 그가 한 말입니다. 그림을 통해 자연에 대한 경이감을 표현해온 그에게 “자연이 언제부터 당신에게 중요한 주제였냐”고 물었거든요. 그랬더니 “요크셔에서 자란 어린 시절부터 늘 자연을 그리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며 이렇게 답했습니다. 두고두고 떠올려도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말입니다.
최근 서울 삼청동 현대화랑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 구상회화 4인전: 윤중식, 박고석, 임직순, 이대원’을 보며 그 말이 떠오른 것은 우연이 아니었습니다. 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에서 중추 역할을 해온 이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시기인 1970~80년대의 작품을 소개하는데요, 이 예술가들이 평생 무엇에 매혹돼 작업했는지 또렷이 보여줍니다.박고석에게 경외의 대상은 산이었습니다.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뒤 그는 1950년 초반엔 ‘범일동 풍경’ 같은 황량한 도시 풍경을 그렸습니다. 하지만 나이 오십 넘어 1960년대 후반부터 그는 북한산·설악산·도봉산·지리산을 직접 오르며 줄기차게 산을 그렸습니다. 투박한 윤곽선, 강렬한 색, 두터운 유화 물감으로 그려진 산들은 작은 캔버스 밖으로 청명하고 영묘한 기운을 뿜어냅니다.
윤중식 역시 굵은 윤곽선과 강렬한 색을 썼지만, 그의 작품은 힘보단 온기를 전한다는 점에서 결이 또 다릅니다. 평양 출신으로, 대동강, 석양, 농촌 풍경 등 어린 시절의 기억을 소재로 한 그의 작품엔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그리움이 짙게 깔렸습니다. 노랑과 주홍, 황토색이 주조를 이루는 석양빛은 그 애틋한 감정의 온도에 가깝습니다. ‘농원의 화가’ 이대원도 있습니다. 1950~60년대 모노크롬 경향이 주류일 때, 그는 자기만의 방식으로 주변의 산과 들, 과수원을 계절마다 다른 색채로 담아냈습니다. 그의 화폭은 총천연색 불꽃이 폭발하는 듯한 에너지로 가득 차 있습니다. 짧은 붓 터치로 피워낸 꽃과 잎, 풀과 나무가 원색으로 이글거리며 타오릅니다.임직순 남쪽의 산 1980 캔버스에 유채 53 x 65.1cm.
호크니의 말대로, 자연은 끊임없이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여주고, 우리는 그것을 각자 마음으로 보고 기억합니다. 구상 회화의 매력도 거기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올해로 55주년을 맞이한 현대화랑이 그동안 그들과 맺어온 인연을 기념하며 마련했습니다. 앞으로 더 주목받고 재조명돼야 할 한국 미술의 역사를 만나볼 기회입니다.
구상회화 한국 한국 구상회화 한국 현대미술 한국 미술 데이비드 호크니 박고석 윤중식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디킨스 후손이 한국서 변호사 '아프리카를 보라'(서울=연합뉴스) 김성진 노재현 기자='우리는 한국 내 법무법인 중 유일하게 기회의 땅 아프리카를 전담하는 팀입니다. 한국과 아프리카를 서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 '20일 나라 되찾는다'…트럼프 공식 취임 前 열린 '마가 취임식'(종합)(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우리는 내일(20일) 정오에 우리나라를 되찾을 것이다. 우리는 미국의 힘과 번영, 품위와 긍지를 영원히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곳에선 고통 아닌 행복한 기억으로…”“서른 넘은 딸 공주라고 불러줘서, ‘보고 싶다’며 매일 영상통화 걸어줘서 정말 고마웠어 아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폴란드포스터 보는 순간 숨이 턱 막혀…안목 높이는 전시 목표'(양평=연합뉴스) 황희경 기자=오황택 두양문화재단 이사장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디자인 가구 컬렉터(수집가)다. 단추 회사를 운영하며 수십 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준의 인사이드 아트] 시대의 아픔 예술로 견딘 이중섭식민지 조선, 한국전쟁과 분단, 이산(離散)과 이별의 아픔을 겪으면서도 그는 온몸으로 자신의 삶과 시대정신을 증언했다. 하지만 이중섭의 예술적 역량과 시대정신은 ‘소’ 시리즈에서 무엇보다 강렬하게 발휘된다. 이중섭은 식민 지배, 전쟁과 분단이라는 다분히 폭력적이고 비극적인 시대의 흐름 속에서 주어진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삶과 시대정신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 이준의 인사이드 아트,이중섭,예술,예술적 역량,동료 예술인들,예술적 태도,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 대사, 극우발 ‘한국 선거 개입설’에 “내정 문제 연계 말라”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최근 윤석열 대통령 쪽과 극우 유튜버 등이 ‘중국이 한국 선거에 개입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한국 내정 문제를 중국과 무리하게 연계시키는 것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다이 대사는 10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우리는 한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