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건영의 경제읽기] 지금 미국 금리는 높은 수준인가

대한민국 뉴스 뉴스

[오건영의 경제읽기] 지금 미국 금리는 높은 수준인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2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1%

최근 투자자들과 대화를 나누다보면 상당수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머지않아 기준금리를...

최근 투자자들과 대화를 나누다보면 상당수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머지않아 기준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지금의 미국 금리가 높은 수준이어서 실물경제를 둔화시키고, 재정 적자가 엄청난 정부의 부채 부담을 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 미국 금융시장에서도 이르면 내년 2분기부터 연준이 금리 인하에 돌입할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런 전망은 현재 5%가 넘는 미국 기준금리가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데서 기인한다. 여기서 본질적인 질문이 시작된다.5%가 넘는 기준금리는 높은 수준일까? ‘높다’는 기준은 무엇일까?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5.25~5.50%로 2001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과거보다 금리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높은 수준의 금리라고 말할 수 있을까? 연준 내에서도 추가 긴축을 주장하는 ‘매파’와 어느 정도 긴축이 마무리 단계에 왔음을 강조하는 ‘비둘기파’로 나뉜다.

반면 비둘기파는 금리 인상이 어느 정도 정점에 달했다고 주장한다. 비둘기파 주장의 핵심은 ‘시차’다. 기존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보면 금리 인상 직후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1년~1년6개월 정도 지난 뒤 금리 인상 충격이 다가오게 된다는 것이다. 연준 내 매파와 비둘기파, 과연 어느 쪽 주장이 맞을까? 시간이 지나고, 실물경제 데이터가 나와봐야 알 수 있다. 그래서 연준도 향후 금리 인상은 매번 ‘라이브’로 결정될 것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6~7월 미국 실물경제는 여전히 탄탄한 흐름을 이어갔다. 물가 상승률도 쉽게 꺾이지 않았다. 이에 매파는 추가 금리 인상을 주장했고, 비둘기파는 시차를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며 ‘속도 조절’을 주문했다. 연준은 지난해 0.75%포인트씩 빠른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다 0.50%포인트로, 올해 3월부터는 0.25%포인트로 인상 폭을 낮췄다. 이후 0.125%포인트를 인상하기는 어렵기에 6월에는 금리를 동결하고, 7월에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했던 것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수출기업 “향후 중점 비즈니스 대상국은 미국·베트남·인도·중국”수출기업 “향후 중점 비즈니스 대상국은 미국·베트남·인도·중국”국내 기업의 중점 비즈니스 대상국이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에서 ‘미국, 베트남, 인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尹, 한-인도네시아 정상회담...공식 환영식 진행[현장영상+] 尹, 한-인도네시아 정상회담...공식 환영식 진행[앵커]윤석열 대통령이 지금 인도네시아를 공식 방문하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尹, 한-인도네시아 정상회담...공식 환영식 진행[현장영상+] 尹, 한-인도네시아 정상회담...공식 환영식 진행[앵커]윤석열 대통령이 지금 인도네시아를 공식 방문하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추천주] 이번주 핫이슈 테마와 상승여력 높은 종목[AI추천주] 이번주 핫이슈 테마와 상승여력 높은 종목박스권 장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그 어느때보다 이슈테마주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번 한 주간(9/4~8) 시장에서 크게 주목받은 이슈테마는 반도체, AI로봇, 미디어, 요소수 등이었다. 이 중 반도체와 AI로봇은 2차전지 열풍 이후 가장 유망한 이슈테마로 꼽히고 있다. 현 시장상황과 종목별 데이터로 오를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추천하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인 입맛 사로잡은 한국인 셰프 박정현의 성공비결은세계인 입맛 사로잡은 한국인 셰프 박정현의 성공비결은미국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박정현 셰프(39)는 현재 세계 미식계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인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美 대통령 차남 추가 기소 가능성…이번엔 불법 총기 소유바이든 美 대통령 차남 추가 기소 가능성…이번엔 불법 총기 소유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이 불법 총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5 10:5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