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는 페이스북·유튜브 등의 ‘좋아요’를 둘러싼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독일 정부가 지난 6월 테러를 선동한 외국인의 추방 절차 간소화 법안을 내놓으면서, 테러 미화 게시...
독일에서는 페이스북·유튜브 등의 ‘좋아요’를 둘러싼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독일 정부가 지난 6월 테러를 선동한 외국인의 추방 절차 간소화 법안을 내놓으면서, 테러 미화 게시물에 단순히 ‘좋아요’만 누른 사람도 추방할 수 있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시민사회단체와 야당은 ‘이모지’만으로 추방하는 이 법안이 이민자 혐오를 등에 업고 극우가 득세하는 사회적 흐름과 무관치 않다며 반발하고 있다.
지난 24일 한국에서도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청문회에서 ‘좋아요’ 논쟁이 빚어졌다. 이 후보자는 “ 폭도들의 선전·선동에 의한 것”이라는 댓글에 ‘좋아요’를 눌러 비판받자, “제게 도움을 주셨던 분들의 글에 무심코 ‘좋아요’를 누른 것뿐”이라며 ‘좋아요 연좌제’라고 맞섰다. 이 후보자의 ‘좋아요’ 논란은 독일에서의 논란과 성격이 다르다. 단순한 ‘좋아요’로 아직 발생하지도 않은 테러 동조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은 지나친 규제이지만, 공직 후보자가 이미 역사적 평가가 끝난 5·18민주화운동을 폄훼한 게시글에 ‘좋아요’를 누른 것은 당연히 청문회 검증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누르는 ‘좋아요’의 적절한 무게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진다. ‘좋아요’는 분명 자신의 정치적 성향이나 취향을 드러내는 방법이지만, 손가락 하나만 까딱하면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운 행위이기도 하다. 그래서 ‘좋아요’의 무게는 때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여되곤 한다.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실제로는 아무 실천도 하지 않으면서 기후위기 게시물에 열심히 ‘좋아요’만 누르며 자기합리화를 하는가 하면, 사회적 약자를 혐오하는 글에 ‘좋아요’를 누르고 다니다 문제가 되면 ‘손가락 운동’일 뿐이었다며 자신의 행동 무게를 희석한다.
그러나 각자 별생각 없이 누른 ‘좋아요’가 모여 누군가는 인플루언서가 되고, 파워 유튜버가 돼서 권력을 갖게 된다. 아무런 수고도 필요치 않은 나의 작은 클릭 하나가 자격 없는 누군가의 목소리가 과대 대표되는 데 일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한 번 더 손가락을 멈칫하게 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5·18혐오 댓글 '좋아요'에 이진숙 '좋아요 연좌제라도 있나'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과거 자신의 페이스북에 MBC 광고 압박을 주장한 것과 관련해 '방법을 열거한 것'이라고 말했다. 5·18 광주민주화 운동 혐오글에 '좋아요'를 누른 것에 대해선 '연좌제라도 있나, 무심코 누른 것'이라고 반박했다. 2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과거 자신의 페이스북에 '바이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알뜰맘들 반길 소식 나왔다”…28개월만에 3% 밑돈 ‘이것’, 물가안정 기대 쑥기대인플레이션 28개월만에 2%대 한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희망고문, 도대체 언제까지 할겁니까”…이번주 이 사람 입, 더욱 주목받는 이유7월 금통위, 12회 연속 동결 무게 물가·고환율 발목에 8월로 눈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청역 참사 가해자, 사고 전날 버스 15시간 몰았다'과로 누적 땐 집중력 무너져'人災에 무게 두는 전문가들도국립중앙의료원서 또 돌진사고60대 운전자는 '급발진' 주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청역 가해자, 사고 전날 버스 15시간 몰았다…스키드마크는 안나타나“과로 누적땐 집중력 무너져” 인재에 무게 두는 전문가들도 경찰 “현장 스키드마크 없어” 브레이크 작동 안했다는 정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적] ‘한미일 동맹’과 ‘한일 동맹’동맹은 구속력 있는 조약·협정 등을 통해 군사적 협력을 하는 국가 간 관계를 의미한다. 안보 및 경제적 이해가 일치하고 오랜 협력과 신뢰의 기반 위에서야 가능하다. 영토분쟁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