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앞에 어떻게 대표실을 둡니까'. 조 대표는 이날 혁신당에 배정된 국회 본관 220·223·224호를 둘러보며 연신 '어떻게 (사무실을) 다 화장실 앞에 주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어떻게 대표실을 화장실 앞에 두느냐'는 말은 얼핏 ‘화장실은 불쾌한 공간이니 부하직원 사무실 앞에 두라’는 특권 의식처럼 느껴졌다. - 시선2035,화장실,사무실,국회 화장실,근거리 화장실,조국혁신당,조국
22대 국회 개원 첫 주 눈에 띈 건 3일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의 발언이었다. 조 대표는 이날 혁신당에 배정된 국회 본관 220·223·224호를 둘러보며 연신 “어떻게 다 화장실 앞에 주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의석 수 대비 사무실 이 협소하고 배치가 불합리하다며, 항의 차 회의를 아예 로텐더홀에서 열었다.
요지는 알겠지만 좀 의아했다. 국회 화장실은 늘 깔끔하게 유지되고, 수도 많아서 한 군데가 유달리 붐비지도 않는다. 비밀 회의 직후 회의실 밖 기자들을 피할 때는 근거리 화장실이 도피처로써 장점도 있다. 게다가 171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실도, 집권 여당 국민의힘 대표실도 화장실 앞에 있다. “어떻게 대표실을 화장실 앞에 두느냐”는 말은 얼핏 ‘화장실은 불쾌한 공간이니 부하직원 사무실 앞에 두라’는 특권 의식처럼 느껴졌다. 비행기 비즈니스석 탑승이나 공항 의전 금지를 외쳤던 혁신당의 특권 폐지 다짐이 무색했다.사실 화장실은 귀여운 수준. 일반 상식과 동떨어진 그들만의 눈높이가 최근 여야를 막론하고 화제다. 김정숙 여사 인도 방문에 들었다는 기내식 비용 6292만원에 대한 전직 대통령 해명이 그랬다.
‘명품백 논란’을 키운 것도 ‘그게 별문제냐’는 식의 상식과 동떨어진 눈높이였다. 김건희 여사와 최재영 목사의 카카오톡 대화를 보면 고가의 선물을 전달하려는 사인의 만남 요청이 그렇게 손쉽게 경호를 뚫었단 게 놀랍다. 명품이 흔해졌다지만 수백 만원대 선물을 받은 이유가 단순히 “박절하기 어려워서”란 해명도 그랬다. ‘그사세’에선 박절하게 거절하려면 샤넬, 에르메스 정도는 돼야 하는 걸까. 22대 국회에서도 특권 폐지가 한 번쯤 화두겠지만, 중요한 건 특권보다 눈높이다. 반기문의 에비앙이, 김문수의 관등성명이, 김무성의 노룩패스가 세비 반납보다 화제였던 이유다. 다시 사무실로 돌아와서, 떠오르는 장면 하나. 노회찬 전 의원이 정의당 원내대표 때인 2016년, 국회 청소노동자들이 업무 공간 부족을 이유로 휴게실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 노 의원은 그들을 찾아가 “혹시 일이 잘 안 되면 사무실을 같이 쓰자”고 했다. 그런 곳에서 눈높이가 드러난다.
화장실 사무실 국회 화장실 근거리 화장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회 풍경] 당선보다 힘든 방 배정...조국혁신당 사무실은 화장실 앞조국혁신당이 4일 의원총회를 국회 본청에 마련된 당 회의실이 아닌 본회의장 앞 로비인 ‘로텐더홀’에서 열었다. 지난 3일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한 이후 연이틀째다. 국회 사무처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선2035] ‘원영적 사고’가 힘든 당신께아이돌 그룹 아이브의 컴백과 함께 열풍인 ‘원영적 사고’는 그렇게 잃어버린 낙천성에 대한 어른들의 향수 같다. ‘부정적 사고=물이 반밖에 안 남았네? / 긍정적 사고=물이 반이나 남았네? / 원영적 사고=연습 끝나고 물을 먹으려고 했는데 글쎄 물이 딱 반 정도 남은거양! 다 먹기엔 너무 많고 덜 먹기엔 너무 적고 딱 반만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완전 럭키비키잖앙(네 잎 클로버)’ 원영적 사고의 핵심은 나를 기준으로 두고, 닥친 일이 긍정적 결과로 귀결될 거란 확신에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선2035] 새로운 부모상이 필요한 시대그는 딸에게 재개발 지역 땅을 편법 증여한 의혹을 두고 '하나밖에 없는 딸에게 아파트 하나 정도는 마련해줘야 한다는 소박한 생각에'라고 말했다. 새로운 부모상이 필요한 이유는 위와 같은 부모와 자식 관계가 지속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많은 이들에게 박탈감을 안긴다는 데 있다. 소박한 아파트 한 채는 못 해주겠지만, 이제 갓 100일을 넘긴 내 아들이 인생의 중대한 길목에 서 있을 때 올바른 길을 제시해주고,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살아갈 힘을 키워주는 든든한 아버지가 되려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형욱, 입금 늦으면 개 굶기라고 지시' 개통령, 이번엔 개 학대 의혹'직원 화장실 사용 제한' 등연일 충격폭로에도 묵묵부답조만간 공식 입장 발표할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법의 땅' 신혼 살림 차린 꿩의 권리를 허하라[세종보 천막 소식 24일차] 농성장 앞 하중도에서 연애하는 꿩 부부에 대한 단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특수학교 과밀화 되고 있는 대전, 특수학급·학교 늘려야'과밀 특수학교 해결 시민대책위 21일 대전교육청 앞 기자회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