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이 27일 공동선언을 통해 “역내 평화와 안정, 한반도 비핵화, 납치자 문제에 대한 입장을 각각 재강조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역내 평화와 안정, 한국은 한반도...
한·중·일 정상이 27일 공동선언을 통해 “역내 평화와 안정, 한반도 비핵화, 납치자 문제에 대한 입장을 각각 재강조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역내 평화와 안정, 한국은 한반도 비핵화, 일본은 납치자 문제를 각각 강조했다는 것이다. 북핵 문제 대응과 관련한 3국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3국 정상회의를 한 뒤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3국 정상은 “우리는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번영이 우리의 공동 이익이자 공동 책임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며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노력을 지속하기로 한다”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외에 별도로 리 총리와 환담을 해 북한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입장을 다시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리 총리에게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글로벌 핵비확산 체제 유지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 달라”고 말했다고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앞서 한·중·일 정상회의 모두 발언에서도 대북 대응에 대한 한·일과 중국의 입장 차는 드러났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위성 발사 예고를 언급한 뒤 “북한이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발사를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는 이에 대해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도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를 거론하며 “북한에 대해 강력히 그 중지를 요구한다”며 “오늘은 북한 정세를 비롯한 국제 정세와 국제 경제 질서 강화 등에 관해서도 3국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고 말했다.
반면 리 총리는 북한을 직접 거명하지 않고 원론적인 수준에 평화를 강조했다. 리 총리는 “중·한·일 협력의 취지와 초심은 발전 촉진, 통화 협력 강화, 지역 및 세계의 평화와 번영의 수호”라며 “새로운 출발점에서 우리는 초심을 고수하고 더 실질적인 행동이 보여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 초안에 '한반도 완전 비핵화 목표''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리창 중국 총리(왼쪽), 윤석열 대통령(가운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오른쪽). 〈사진=연합뉴스〉 내일(26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중·일 경제 협력·교류 확대 강조···북한 문제는‘한·일 VS 중’ 온도차한·중·일 정상이 27일 3국의 경제 협력, 교류 확대를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동시에 북한 문제를 대하는 3국 정상의 미묘한 온도차도 드러났다. 한·일은 대북 대응 강조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국 '한·중·일' 익숙한데 왜 '한·일·중 정상회담'이라 하나 봤더니■ 방송 : JTBC 유튜브 라이브 〈뉴스들어가혁〉 (평일 오전 8시 JTBC News 유튜브) ■ 진행 : 이가혁 기자 / 대담 : 최종혁 기자 ■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용 시: JTBC 유튜브 라이브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중, 한·일, 중·일 연쇄 회담…공식 환영 만찬도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하루 앞둔 26일 3국은 각각 양자 회담을 통해 현안을 논의했다. 회담 이후 3국 대표단은 경제계 인사들이 참석하는 공식 환영 만찬도 진행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철규 “한동훈 당대표? 제가 원내대표 안 하겠단 근저에 패배 책임감 있는데···”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8일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차기 당대표 출마설에 대해 “제가 이번에 원내대표를 안 하겠다는 결심을 가진 근저에 저도 10명 중 한 사람인 공천관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중·일 정상회의, 26~27일 서울서 열릴 듯…정부 “최종 조율 중”한·중·일 정상회의가 오는 26~27일 서울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5일 “한·일·중 3국은 26~27일 정상회의 개최를 최종 조율 중이며 조만간 발표할 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