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4일 군사정찰위성을 재발사했지만 실패했다고 밝혔다. 북한 공식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북한이 지난 5월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에 공개했다. 연합뉴스북한 공식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오전 6시15분쯤 공개한 보도에서 “국가우주개발국은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위성 운반 로케트 ‘천리마-1형’에 탑재해 제2차 발사를 단행했다”며 “신형 위성운반 로케트 천리마-1형의 1계단과 2계단은 모두 정상비행했으나 3계단 비행 중 비상폭발 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고 밝혔다.
발사하고 약 2시간30분 만에 실패 사실을 공식 인정한 것이다. 통신은 “국가우주개발국은 비상폭발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된 원인을 빠른 기간 내에 해명할 것”이라며 “국가우주개발국은 해당 사고의 원인이 계단별 발동기들의 믿음성과 체계상 큰 문제는 아니라고 설명하면서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대책한 후 오는 10월에 제3차 정찰위성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오늘 오전 3시 50분께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방향으로 발사돼 이어도 서쪽 공해 상공을 통과한 ‘북 주장 우주발사체’ 1발을 포착했다”고 밝힌 바 있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성공을 올해 최우선 국방 과제로 강조해왔다. 군사정찰위성은 한반도 주변에서 한·미·일의 군사적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고도화된 핵·미사일 선제 활용 역량을 극대화하는 자산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지난 5월 첫 발사 실패를 올해 상반기 “가장 엄중한 결함”으로 자평하며 재발사를 추진해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합참 '3시 50분경 남쪽으로 '북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지난 5월 31일 발사 실패 이후 85일 만에 다시 발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 24∼31일 사이 위성발사 계획 일본에 통보지난 5월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재도전인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통일부 '북한 인공위성 발사, 안보리 결의 정면 위반'북한 발사 예고에 "긴밀한 한미일 공조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함께 대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북한, 오는 24일 0시~31일 0시 사이 인공위성 발사 통보”북한이 오는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통보를 해왔다고 일본 정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