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12광년 밖 '슈퍼목성' 첫 직접 포착'

대한민국 뉴스 뉴스

[사이테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12광년 밖 '슈퍼목성' 첫 직접 포착'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3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8%
  • Publisher: 51%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12광년 떨어진 별 주위에 있는 목성보다 6배 큰 가스형 외계행성(엡실론 인디...

이주영 기자=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12광년 떨어진 별 주위에 있는 목성보다 6배 큰 가스형 외계행성을 처음 직접 이미지로 포착했다. 이 슈퍼목성은 지금까지 발견된 거대 가스행성 대부분이 중심별과 가까워 매우 뜨거운 것과 달리 온도가 2℃ 정도로 차가운 것으로 분석됐다.12광년 밖에 있는 목성보다 6배 큰 가스형 외계행성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중적외선 관측장치에 한 점의 빛으로 포착됐다. 사진은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중심별 엡실론 인디 A와 슈퍼목성을 재구성한 것.

연구팀은 이 발견은 여러 측면에서 매우 이례적이라며 지상에서 촬영된 적이 없는 외계행성의 이미지를 JWST가 포착한 첫 사례이고, JWST가 지금까지 연구한 다른 가스형 외계행성들보다 온도가 훨씬 낮은 차가운 슈퍼목성을 처음 발견한 것이라고 말했다.이 슈퍼목성의 중심별 엡실론 인디 A는 남반구 인디언자리 쪽으로 12광년 떨어진 주황색 왜성으로, 표면온도가 4천200℃ 정도로 태양보다 1천℃ 이상 낮다. 2019년 주위에 목성보다 3.25배 크고 공전주기가 45.2년인 외계행성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으나 직접 관측되지는 않았다.그 결과 이 가스형 외계행성은 온도가 절대온도 275K로 차갑고 질량은 목성의 6배가 넘으며, 중심별에서 20~40천문단위 떨어진 타원형 공전궤도를 가지고 있어 공전주기가 수십년 이상으로 추정됐다.

매튜스 박사는"MIRI 이미지에 나타난 밝은 점은 우리가 예상했던 외계행성 위치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외계행성 존재는 정확히 밝혀냈지만, 슈퍼목성의 질량을 너무 작게, 궤도를 중심별에서 너무 가깝게 본 것 같다"며"JWST 덕분에 이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지금까지 태양과 비슷한 항성 주위에서 차가운 거대 가스행성이 발견된 것은 몇 개에 불과하고, 모두 천체가 관측자의 시선 방향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속도를 나타내는 시선 속도를 분석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됐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이테크+] '1만8천광년 밖 ω켄타우리에서 태양 8천200배 블랙홀 발견'[사이테크+] '1만8천광년 밖 ω켄타우리에서 태양 8천200배 블랙홀 발견'(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지구에서 1만8천 광년 떨어진 오메가(ω) 켄타우리 성단 중심부에서 지금까지 존재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중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이테크+] '65광년 밖 외계행성 대기에선 썩은 달걀 냄새가 난다'[사이테크+] '65광년 밖 외계행성 대기에선 썩은 달걀 냄새가 난다'(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지구에서 65광년 떨어진 여우자리에서 2005년 발견된 목성 크기의 가스형 외계행성(HD 189733b) 대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임스웹, 700광년 밖 외계행성의 아침·저녁 온도를 알아냈다제임스웹, 700광년 밖 외계행성의 아침·저녁 온도를 알아냈다최근 2주년을 맞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는 외계 행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파악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제임스웹이 이를 위해 첫번째 탐구 대상으로 삼은 외계행성은 지구에서 700광년 거리에 있는 WASP-39b다. 일명 ‘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이테크+] 'AI-수치모델 결합 새 기후모델 '뉴럴GCM' 개발…정확도 개선'[사이테크+] 'AI-수치모델 결합 새 기후모델 '뉴럴GCM' 개발…정확도 개선'(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활용한 인공지능(AI)과 기존 수치해석 기반의 일반 순환 모델(GC...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이테크+] 'AI로 너울성 파도 발생 5분 전에 예측한다…정확도 70% 이상'[사이테크+] 'AI로 너울성 파도 발생 5분 전에 예측한다…정확도 70% 이상'(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비정상적으로 크고 예측하기 어려워 해안에서 인명피해와 선박·해양시설 등에 피해를 일으키는 너울 같은 큰 파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이테크+] '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억제했더니…수명 20% 이상 증가'[사이테크+] '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억제했더니…수명 20% 이상 증가'(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중 하나가 노화와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험 결과 이 단백질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4 19:5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