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모 대통령실 행정관이 지난 3일 검찰 참고인 조사에서 김건희 여사가 2022년 9월13일 최재영 목사로부터 명품백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날 밤 김 여사가 돌려주라고 ...
유모 대통령실 행정관이 지난 3일 검찰 참고인 조사에서 김건희 여사가 2022년 9월13일 최재영 목사로부터 명품백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날 밤 김 여사가 돌려주라고 지시했지만 깜빡했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이를 두고 ‘꼬리 자르기’라는 비판이 쏟아지자, 김 여사 법률대리인인 최지우 변호사가 16일 보도자료를 내고 “현재 디올백은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돼 있다”며 “꼬리 자르기란 말은 어불성설”이라고 했다. 김 여사는 명품백 논란이 불거진 지 8개월 동안 입도 뻥끗하지 않았다. 이제와서 아랫사람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빠져나가려는 게 꼬리 자르기가 아니면 뭔가.
김 여사의 반환 지시가 있었다면 지난해 11월 명품백 수수 영상이 폭로된 직후 공개했을 걸로 보는 게 합리적이다. 총선을 앞두고 윤석열 정부를 궁지로 몰아넣던 사안인데, 이 말을 피할 이유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대통령실 누구도 김 여사의 반환 지시를 공개하지 않았다. 김 여사도 올 초 한동훈 여당 비대위원장에게 ‘명품백 사과’ 여부를 묻는 문자메시지를 다섯 차례 보낼 때도 이 얘긴 없었다. 김 여사는 명품백 미반환을 영상 공개 후 알았다는데, 그 후에도 대통령실에선 최 목사에게 명품백 반환을 위해 연락하지 않았다. 외려, 대통령실은 명품백이 국고에 귀속되는 ‘대통령기록물’이어서 돌려줄 수 없다는 취지로 대응해왔다. 설사 김 여사의 말이 맞다면 대통령실은 지금껏 국민들에게 거짓말을 한 셈이다.
김 여사 측이 이제와서 ‘반환 지시’를 얘기하는 의도는 짐작된다. 공직자 배우자로서, 받은 금품을 곧장 반환하도록 지시해 청탁금지법을 지켰고 대통령 부부의 법적 책임을 회피하겠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애꿎은 부하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건 너무 비겁하다. 최 변호사는 “현직 영부인을 소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했는데, 김 여사가 검찰에 ‘소환 불가’ 가이드라인을 주려한다는 의구심만 키우고 있다. 검찰의 김 여사 수사가 마무리 단계라고 한다. 김 여사를 소환해 조사하고 대통령실을 압수수색해 명품백을 확보하는 게 당연한 절차다. 그런데도 검찰은 대통령실에 공문을 보내 명품백 제출을 간청하다시피 하고 있다. 이원석 검찰총장의 “법 앞에 예외도, 특혜도, 성역도 없다”는 말과 너무 다르다. 김 여사와 검찰의 태도가 이러하니 김 여사 의혹을 특검으로 밝혀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커지는 것 아닌가.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원희룡 '사과 기회 놓쳐 총선 망쳐', 나경원 '한동훈 사과해야'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김건희 문자' 한동훈에 4·10 총선 패배 책임 물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가 8만원짜리 가방 아냐?”…‘디올 사태’에 강남맘도 지갑 닫을까“못 들고 다니겠다” 디올 소비자들 푸념 로이터 “LVMH, 노동 착취 정황 포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건희 명품백 사건 종결에 책임'…최정묵 권익위원 사퇴국민권익위원회. 〈사진=연합뉴스〉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인 최정묵 위원이 최근 전원위원회에서 의결한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 사건 종결 처리에 책임을 느낀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최 위원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자 보낸 김건희 여사 ‘책임’ 사라지고…남은 건 ‘감히’뿐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서 한동훈 후보가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김건희 여사의 문자메시지를 무시했다는 논란을 두고 후보 간 난타전이 이어지고 있다. 7일 당 안팎에서 후보들이 사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김건희·한동훈 댓글팀 의혹, 실체 규명하고 엄벌해야국민의힘 전당대회 중 불거진 김건희 여사와 한동훈 당대표 후보의 ‘댓글팀’ 의혹이 커지고 있다. 댓글팀 존재를 의심케 하는 주장들도 이어지고 있다. 댓글팀을 동원한 여론조작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김건희 문자로 덮이고 막말까지, 이런 전대 왜 봐야 하나국민의힘 7·23 전당대회가 길을 잃었다. 4·10 총선 참패로 소수당으로 전락한 여당 전대라면 응당 민의를 성찰하고 쇄신을 다짐해야 하지만, ‘김건희·한동훈 문자’로 악다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