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마약 조직원들과 인천국제공항 세관 직원들의 유착 의혹을 수사하다 경찰 윗선의 외압을 받았다고 폭로한 백해룡 경정이 지난 29일 조지호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출석...
지난해 마약 조직원들과 인천국제공항 세관 직원들의 유착 의혹을 수사하다 경찰 윗선의 외압을 받았다고 폭로한 백해룡 경정이 지난 29일 조지호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영등포경찰서 형사2과장 재직 당시 수사 결과를 발표하려 하자 서장이던 A총경이 대통령실을 거론하며 연기를 지시했고, 서울경찰청 생활안전부장이던 조병노 경무관도 전화해 보도자료에서 관세청 관련 문구를 삭제할 것을 종용했다는 것이다. A총경은 대통령실 자치행정비서관실로 파견돼 근무 중이다.
백 경정의 증언은 구체적이다. 지난해 9월 수사 결과 발표 이틀 전 A총경이 전화해 “세관 직원이 마약 밀반입 사건에 연루된 사실을 ‘용산’이 잘 알고 있다”며 연기를 지시했다고 했다. 백 경정은 “용산에서 아주 안 좋게 보고 있다. 괘씸하게 보고 있다는 취지였고 그 얘기를 듣는 순간 머리가 하얘지는 느낌이 들었다”고 했다. 백 경정은 조 경무관도 지난해 10월5일 전화해 “‘세관 얘기 안 나오게 해주시는 거지요’라고 했고, 대답을 안 하니 ‘관세청도 국가기관이고 경찰도 국가기관인데 서로 싸운 것으로 비칠 수 있지 않으냐. 제 얼굴에 침 뱉기다’라고 하더라”고 했다.
A총경과 조 경무관은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백 경정이 국회에 나와 없는 말을 지어냈다는 것인가. 조 경무관은 이 건으로 인사혁신처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했지만 불문 처분됐고, 윤희근 경찰청장이 직권으로 경고 조치하는 선에서 그쳤다. 백 경정은 강서경찰서 지구대장으로 좌천됐다. 야당에선 ‘제2의 채 상병 사건이 될 수 있다’는 말이 나왔다. 두 사건은 윗선의 수사 결과 발표 연기 지시, 대통령실 개입 의혹, 외압 피해자의 불이익 조치 등이 비슷하고, 등장인물도 일부 겹친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을 받는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단체 채팅방에서 언급한 경찰 간부 인사 청탁 대상이 조 경무관이다.
마약 범죄가 날로 심각해지는 나라에서 마약 조직과 세관 직원 간 유착은 가벼이 넘길 일이 아니다. 수사로 실상을 밝혀냈다면, 널리 알려 공직사회에 경종을 울려야 마땅하다. 그러나 상황은 정반대로 돌아갔다. 이런 식이라면 어느 경찰이 목숨 걸고 마약 범죄와 싸우겠는가. 이 건은 백 경정의 고발로 공수처가 수사 중이다. 공수처는 수사 외압과 대통령실 개입 의혹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마약 수사 외압’에도 대통령실 연루 의혹, 진상 밝혀야지난해 필로폰 74㎏을 밀반입한 마약 조직을 검거한 경찰이 관세청 직원들의 연루 혐의를 잡고 수사에 나섰으나, 상부로부터 압박에 시달렸고 이 과정에서 대통령실까지 언급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외압을 가한 핵심 경찰 간부는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의 녹취에 등장하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국혁신당, 한동훈 댓글팀 의혹 경찰에 고발“공무원까지 동원됐다면 직권남용...국가수사본부가 철저한 수사로 진상 밝혀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나경원 ‘패스트트랙 공소 취소’ 청탁, 수사로 밝혀야나경원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한동훈 법무부 장관 시절 자신의 ‘국회 패스트트랙 저지’ 사건 공소를 취하해줄 것을 청탁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사자인 한동훈 후보가 17일 경선 토론회에서 폭로한 내용이다. 후보 간 공방 정도로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법치주의에 대한 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김 여사 사과” 국힘 후보 모두 촉구, 변명 말고 진실 밝혀야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들이 김 여사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 여사에 대한 검찰 조사가 필요하다는 데도 의견이 일치했다. 김 여사는 최근 명품백 문제를 아랫사람의 ‘깜빡’ 실수 탓으로 떠넘기고, 검찰을 향해 ‘소환 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대통령실은 ‘사과 문자’ 진상 밝히고, 김 여사는 수사받으라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4·10 총선을 앞두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명품백 수수의혹에 대한 사과 여부를 물었으나 한 위원장이 답하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김건희 특혜’ 진상 파악도 거부한 ‘친윤 이창수’의 하극상이원석 검찰총장이 김건희 여사에 대한 ‘비공개 출장조사’ 보고 누락 경위를 파악하라고 대검 감찰부에 지시한 데 대해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이 ‘김 여사 수사가 끝날 때까지 진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