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경기도 포천시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 육군과 공군, 주한미군이 참여하는 한·미 연합·합동 통합화력 훈련을 하던 중, KF-16 전투기 2대에 탑재됐던 MK-82 무유도 폭탄 8발이 엉뚱한 곳에 떨어졌다. 사고 원인과 관련해 공군은 1번 전투기 조종사가 좌표를 잘못 입력했고, 2번 전투기 조종사가 이에 따라 폭탄을 떨어뜨린 사고라고 발표했다. 공군은 원인을 규명할 때까지 실사격 훈련을 중단하기로 했지만, 실기동으로 진행하는 FS훈련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6일 오전 10시4분쯤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민가에 공군의 MK-82 공대지 폭탄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공군은 이날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 에서 실시된 한?미 연합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 도중 KF-16 조종사의 좌표 입력 실수로 일어난 오폭 사고라고 밝혔다. 이 사고로 성당과 민가 주택, 창고, 비닐하우스 등이 파손되고 1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공군 조종사 좌표 입력 오류로 민간 지역 폭격 재발 방지 대책 마련하되 전력 차질은 막아야 공군 전투기가 실사격 훈련 중 민가를 오폭하는 초유의 사건이 발생했다. 어제 경기도 포천시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 육군과 공군, 주한미군이 참여하는 한·미 연합·합동 통합화력 훈련을 하던 중, KF-16 전투기 2대에 탑재됐던 MK-82 무유도 폭탄 8발이 엉뚱한 곳에 떨어졌다. 10일부터 진행하는 한·미 연례 연합훈련인 ‘자유의 방패’ 연습을 앞두고 사전 훈련 중 폭탄 일부가 목표에서 직선거리로 8㎞가량 떨어진 민간 지역을 폭격한 것이다. 이 사고로 주민 15명이 중경상을 입었고, 성당을 비롯해 다수의 민간 건물과 차량이 파괴됐다.
MK-82는 건물과 교량을 파괴하기 위해 사용하는 폭탄이다. 폭탄 1개가 축구장 1개 정도의 면적을 초토화할 수 있는 위력을 지녔다. 자칫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지만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만으로도 천만다행이다. 사고 직후 군 당국이 폭발물 처리반을 투입해 불발탄이 있는지 조사했으나 투하한 폭탄이 모두 폭발해 추가 폭발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피해 보상과 함께 “시민들이 납득할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군사훈련을 전면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사고 원인과 관련해 공군은 1번 전투기 조종사가 좌표를 잘못 입력했고, 2번 전투기 조종사가 이에 따라 폭탄을 떨어뜨린 사고라고 발표했다. 공군은 전쟁 초기 북한군의 주요 시설을 정밀 타격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조종사 1명을 양성하는 데 100억원이 넘는 비용을 투입하는 건 적의 방공망을 피해 목표물에 접근해 ‘원샷 원킬’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좌표를 잘못 입력해 민가를 폭격했다니 참으로 어처구니없다. 실전이었다면 목표물 코앞까지 다가가 엉뚱한 곳을 폭격한 꼴이다. “적의 어떠한 도발에도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췄다”고 반복했던 군이 어쩌다 이 지경이 됐나. 이래서야 전쟁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군은 이런 아찔한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철저한 원인 규명에 나서야 한다. 1차 조사에서 조종사의 과실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정상적 투하’라고 얼버무리거나 은폐하려 해선 안 된다. 조종사가 좌표를 잘못 입력한 이유가 뭔지, 좌표를 재차 확인하는 절차는 없었는지, 나아가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기강이 해이해진 건 아닌지 전반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동시에 군 당국은 이번 사고가 전력 공백과 훈련 차질로 이어지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공군은 원인을 규명할 때까지 실사격 훈련을 중단하기로 했지만, 실기동으로 진행하는 FS훈련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북한은 이미 한·미 연합훈련을 핑계로 군사행동을 예고했다. 사고 재발은 철저하게 막되 한·미 연합전력을 적극 가동하는 등 북한에 허점을 노출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훈련 전투기 조종사 공군 전투기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 사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한·미연합훈련 민가 오폭, 군 기강해이 철저 점검해야한·미 연합 실사격 훈련에 참가한 공군 전투기가 6일 폭탄을 민가에 떨어뜨려 민간인 10여명이 다치고 건물이 부서지는 초유의 오폭 사고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비상계엄 이어 전투기 오폭 사고, 군 왜 이러나한·미 연합훈련에 참가한 공군 전투기의 오폭으로 민간인들이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훈련 중인 군의 오폭으로 민간인이 다친 것은 초유의 일이다. 게다가 군은 오폭 사고가 발생한 사실조차 까맣게 모르고 있다가 민간인의 사고 신고를 접수한 뒤에야 알았다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폭탄이 떨어져도 재난문자 ‘0건’…군도 지자체도 발송 요청 안 했다6일 경기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로 중상자 2명을 포함해 15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일대가 초토화될 정도로 피해를 입었지만 관련 재난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좌표 확인 3단계, 조종사 혼자 해…이게 민가 최악 오폭 불렀다15명을 다치게 한 6일 공군 전투기의 공대지 폭탄 오폭 사고는 조종사의 표적지 좌표 입력 실수 때문이었다고 군 당국이 밝혔다. 최초 좌표 입력-전투기에 좌표 연동-비행 중 육안 확인 등 세 단계에 이르는 좌표 확인 절차를 조종사 1명에게 오롯이 맡기는 방식이 결국 군 폭탄이 민가를 덮치는 최악의 사고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이날 오전 경기 포천에서 발생한 사고와 관련, 군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조종사가 비행 준비 과정에서 잘못된 좌표를 입력했다는 점이 조종사 진술 등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좌표 잘못 찍었다”...‘최악의 전투기 오폭 사고’ 조종사 실수 바로 잡을 기회도 날려6일 발생한 초유의 전투기 민가 오폭 사고는 조종사의 좌표 입력 실수에서 비롯됐다는 게 군 당국의 1차적인 판단이다. 실수로 좌표를 잘못 입력할 수는 있지만, 이후 3차례나 이를 바로잡을 기회가 있었지만, 그냥 지나친 것으로 보여 안일한 훈련 태도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군 당국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오전 10시 4분께 경기 포천 승진과학화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0㎞만 위로 올라갔어도 北접경' 외신도 놀란 '전투기 오폭'이날 오전 경기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 실시된 한·미 연합훈련은 오는 10일부터 20일까지 이뤄지는 한·미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FS) 연합연습의 전초전 성격이었다. 군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조종사의 좌표 입력 실수로 인해 벌어졌으며, 폭탄이 떨어진 지점은 MDL에서 불과 약 30㎞ 떨어진 지점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