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저소득층 충치 2.5배, 치아건강도 양극화 대비해야

대한민국 뉴스 뉴스

[사설] 저소득층 충치 2.5배, 치아건강도 양극화 대비해야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1%

가난한 집 아이들의 충치가 더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라 아동의 ...

가난한 집 아이들의 충치가 더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라 아동의 치아건강도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질병관리청이 12세 아동 1만8671명을 조사해 내놓은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스스로 기입한 소득수준이 ‘하’ 집단인 아동은 충치가 1인당 0.23개로 ‘상’ 집단 아동보다 2.5배 많았다. ‘하’ 집단 아동은 ‘상’ 집단 아동에 비해 치통과 잇몸출혈을 경험한 비율도 각각 2.4배와 1.3배 많았다. 영구치 치료가 필요한 비율은 ‘상’ 집단이 5.5%인 데 비해 ‘하’ 집단은 12.3%로 2.2배 차이가 났다.

치과 질환은 환자 개인에게 책임을 묻는 경향이 있다. 양치질을 열심히 하고 충치를 유발하는 음식 섭취를 줄이면 상당 부분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동이 부모나 보호자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개인 탓으로만 돌리기 어렵다. 무엇보다 저소득층엔 진료비가 적지 않은 치과의 문턱이 높다는 게 문제다. 보고서를 보면 치과 치료가 필요한데도 받지 못한 아동은 ‘상’ 집단이 100명당 15명인 데 비해 ‘하’ 집단은 100명당 29명이었다. 특히 치료를 받지 못한 이유가 ‘경제적 원인 때문’이라고 응답한 아동 비율은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10배 많았다. 소득에 따른 치아건강 격차는 나이가 들수록 더 커진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상실치아 수는 소득수준 상위 20% 집단이 평균 1.96개인 데 비해 하위 20%는 9.80개로 5배 차이를 보였다.

현재 건강보험의 치과 진료 보장률은 34.9%로 전체 진료의 절반 수준이다. 이런 실정이니 치과 진료는 뒤로 밀리기 일쑤고, 먹고살 만한 이들에게도 부담이다. 이 와중에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미용 목적의 고가 진료는 매년 늘고 있다. 치아가 망가지면 고통도 심하지만 음식물 섭취가 원활하지 않아 체중 감소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얼굴이 변형돼 자존감이 낮아지고 사회성도 떨어진다. 치아 질환도 사전 예방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최근 국회에는 저소득층의 치과 접근성을 높이고, 초등학생에게 적용 중인 치과주치의 사업 대상을 18세까지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구강보건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건강보험 재원에 한계가 있고 보험 적용 질병에 우선순위가 있겠지만, 치아건강 양극화 해소에 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탕후루·롤업젤리·구미첼 ‘단 것 옆 단 것’···중학생 비만 3배·당뇨 1.7배 늘었다탕후루·롤업젤리·구미첼 ‘단 것 옆 단 것’···중학생 비만 3배·당뇨 1.7배 늘었다중학생 비만 환자가 4년새 3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비만 외에도 2형 당뇨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골목마다 아이들 유혹…‘이 병’ 걸린 학생들 크게 늘었다골목마다 아이들 유혹…‘이 병’ 걸린 학생들 크게 늘었다4년새 중학생 비만 3배 이상 늘어 코로나 거치며 당뇨·이상지혈증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재난 예비비는 지자체 쌈짓돈?…지출률 30%도 안 돼[단독]재난 예비비는 지자체 쌈짓돈?…지출률 30%도 안 돼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난해 재난 예비비를 2배 이상 늘렸지만 지출률은 30%도 되지 않은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벌크업’하는 단백질 음료 시장…경쟁 치열하네‘벌크업’하는 단백질 음료 시장…경쟁 치열하네선점효과 노린 신제품 봇물 3년새 50종으로 5배 늘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금리에도 내 집 마련 열풍…1년 새 주담대 13조원 이상 급증고금리에도 내 집 마련 열풍…1년 새 주담대 13조원 이상 급증인터넷은행 주담대도 7.5조원 증가 은행 주담대 연체율 0.22% 1년 전에 비해 2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동산 시장 양극화 심화...하반기 시장 전망은?부동산 시장 양극화 심화...하반기 시장 전망은?[앵커]부동산 규제 완화와 금리 동결 등 영향으로 서울 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4 23: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