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혼인신고 안 하냐고?'…'결혼 페널티'를 아십니까 SBS뉴스
실제 혼인신고를 하면 1인 가구일 때 받던 각종 지원이 끊기거나 제약을 받게 되는 정책들이 많다는 건데요, 실제 이 때문에 이른바 '위장 미혼', 즉 결혼한 뒤에도 혼인신고를 미루는 일이 생긴다는 겁니다.사람은 2배가 됐는데, 소득 인정액은 1.7배에 그쳐서 소득 기준이 더 까다롭죠.디딤돌대출의 소득 기준은 부부 합산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 생애 최초·신혼·2자녀 이상 부부가 7천만 원 이하인데, 30세 이상 미혼자에 대해서도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가 적용되다 보니 각각 따로 받는 게 낫다는 겁니다.
보도에서는 이 외에도 다양한 제도들이 이상한 세태를 만들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누리꾼들은 '실제 주변 사람들도 신고를 미루고 있다', '1인 가구 지원을 압도할 정도의 강력한 출산 지원이 필요하다', '유아 지원책도 함께 해결해야 한다'는 등 공감한다는 댓글이 줄을 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인 절반 '결혼 안 해도 된다'…셋 중 하나가 '나 홀로 가구' | 중앙일보3.6%는 '결혼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대답했습니다.\r통계청 한국 한국인 결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 절반 '결혼 안 해도 돼'...1020 과반은 '자녀 필요없다'우리 국민 절반은 결혼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또 10∼20대 과반수는 결혼 후에도 자녀를 낳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은 '2022 한국의 사회지표' 발표를 통해 지난해 만 13세 이상 인구 가운데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의 비중은 50.0%로 집계됐다고 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헌재 “수사권 조정, 검사 권한침해 아니다” 판단 내린 이유는[아침을 여는 한겨레] 2023년 3월24일 금요일 헌재 '검찰수사권 축소, 권한침해 아니다' 👉 읽기: 여권 압박에··· KT 대표후보 세번째 사의 👉 읽기: 조부모 빚, 손자녀는 안 갚아도 된다 👉 읽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있는 제도도 활용 못 하는데...'근로시간 단축제' 아십니까?근로시간 단축제도 / ’가족 돌봄’ 신청 권리 / '제도 활용률 1% 불과' / 근로 유연화 우려 여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11개 질문으로 밝혀낸, 연애·결혼·출산을 거부하는 사람들 [취재 뒷담화]한국 합계출산율이 왜 낮은지 챗지피티에 물었다. 경제적 부담, 직장 문화와 가부장적 가치관 등 뻔한 답이 돌아왔다. 인공지능도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이유를 211개 질문으로 풀어냈다. 〈시사IN〉 제808호 ‘출산율 0.78 시대 연애·결혼 리포트’를 쓴 김동인 기자다.질문 만들기가 기획의 절반인데 어떻게 설계?처음엔 ‘결혼의 자격, 부모의 자격’으로 기획. 공동 기획한 한국리서치 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논의 끝에 ‘결혼하기를 꺼리는, 부모 되기를 꺼리는 사람이 누구인가’로 수정. ‘결혼하지 않고 아이 낳지 않는 원인이 단일하지 않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