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기록의 기억] (114) 우이동의 옛 그린파크호텔 입구

대한민국 뉴스 뉴스

[반세기, 기록의 기억] (114) 우이동의 옛 그린파크호텔 입구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1%

1971년과 2023년 사진은 같은 장소를 찍은 것인데도 불구하고, 멀리 산이 보이고 길 양옆에 숲이 있다는 것 외에는 공통점이 없어 보인다. 숲의 모습도 많이 달라져 뒤로 ...

우이동 옛 그린파크호텔 입구 | 2023년 | 셀수스협동조합 제공

1971년과 2023년 사진은 같은 장소를 찍은 것인데도 불구하고, 멀리 산이 보이고 길 양옆에 숲이 있다는 것 외에는 공통점이 없어 보인다. 숲의 모습도 많이 달라져 뒤로 보이는 두 개의 우뚝 솟은 바위 봉우리만 두 사진이 동일한 곳에서 촬영된 사실을 입증한다.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두 바위 봉우리가 북한산의 최고봉인 백운대와 인수봉임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럼 두 봉우리가 사진처럼 보이는 곳은 어디일까? 먼저 1971년 사진에는 정면에 ‘백운문’이라는 현판을 단 전통 양식의 웅장한 대문이 보이고, 문 뒤 오른편 숲속에 현대식 건물이 살짝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문을 향해 미니스커트 차림의 여성들이 오르막길을 가고 있다. 2023년 사진에는 큰 대문이 사라지고, 대신 경비실로 추정되는 작은 구조물 좌우로 차량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길 양편의 숲도 새로 조성되었으며, 오른쪽으로는 지은 지 얼마 안 되어 보이는 커다란 건물이 북한산의 모습을 거의 가리었다. 등산복 차림에 배낭을 멘 두 사람의 뒷모습도 보인다.

이곳은 서울 강북구 우이동의 북한산 등산로 어귀이다. 1971년의 백운문은 사진 오른쪽에 위치한 그린파크호텔의 정문이었다. 1968년 문을 연 그린파크호텔은 호텔보다도 야외수영장으로 더 유명했다. 50m 길이의 정규 풀과 다이빙 풀, 어린이 풀은 물론이고 수중 미끄럼틀을 갖추고 있었고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여서 여름이면 많은 사람이 붐비는 명소였다. 특히 높은 곳에서 타고 내려오는 ‘하이슬라이더’라는 미끄럼틀은 따로 이용료를 낼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2023년 사진의 새 건물은 옛 그린파크호텔 자리에 지은 ‘파라스파라’라는 리조트다. 2009년부터 짓기 시작하였으나, 시공사 부도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2021년에야 개장했다.

그럼 ‘백운문’은 어디로 갔을까? 이 문은 현재 서울광장 앞 환구단에 있다. 이 문은 본래 1897년 세워진 환구단의 정문이었고, 1914년 일제가 환구단 자리에 세운 조선호텔의 정문 역할을 했으나, 1967년 조선호텔을 재건축할 때 해체되어 전혀 연고도 없는 우이동으로 옮겨졌다. 다행히 2007년에 이 문의 내력이 밝혀져 2009년 원래의 위치에서 조금 옮겨진 곳으로 이전, 복원되었다. 백운대에서 딴 걸로 추정되는 ‘백운문’이란 현판도 물론 제거되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반세기, 기록의 기억] (113) 강화 초지진[반세기, 기록의 기억] (113) 강화 초지진강화 초지진(草芝鎭)은 바다에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 위한 해안 진지다. 초지진은 주변 평지보다 조금 높게 평평한 요새로 조성되었는데, 이것을 돈대(墩臺)라 부른다. 초지진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취미에 권력이 개입... 커피 마실 여유가 사라졌다취미에 권력이 개입... 커피 마실 여유가 사라졌다[커피로 맛보는 역사, 역사로 배우는 커피] 반세기 전 도래한 커피 암흑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옥천IC 입구 앞 휴게소에는 특별한 서비스가 있다옥천IC 입구 앞 휴게소에는 특별한 서비스가 있다갖가지 물건 싣고 전국 누비는 이들이 잠시 쉬어가는 곳, '옥천 만남의광장' 휴게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론] 옛 동독 지역이 출산율 회복한 이유는?[시론] 옛 동독 지역이 출산율 회복한 이유는?결혼해도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렵고, 자녀가 행복한 사회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하다 보니 출산을 더 기피한다. 예를 들면 독일의 가족정책을 보면 4대 목표는 가족의 경제적 안정과 사회 참여, 일·가정 양립, 자녀의 안녕과 지원, 자녀 소망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환경 조성이다. 최근 한국사회의 미래를 걱정하는 일부 기업의 출산장려금 지원 소식에 많은 국민이 환호하지만, 일·가정 양립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적극적 참여가 출산장려금보다 출산율 회복에 더 중요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객님, 오늘도 때리고 기억 안 난다고 하실 건가요?고객님, 오늘도 때리고 기억 안 난다고 하실 건가요?[나는 택시 운전사] 매일 밤 10시, 다시 한번 운전대 꽉 잡는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주 왕따 시킨 기업들, 올해는 어떤 주총 준비하시나요 [기자수첩]주주 왕따 시킨 기업들, 올해는 어떤 주총 준비하시나요 [기자수첩]내주 일명 ‘슈퍼주총 위크’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와글와글하다. 입구에서 주주들의 출입을 막는 ‘입구 컷’ 사례부터 수도권보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제주도에서 열리는 주주총회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만도 다시금 속속 나오는 이유다. 지난 2022년 1월. 포스코는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사업 부문을 100% 자회사로 분할하는 계획안을 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4 19: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