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슬의 숫자읽기] 남미 오징어와 땅 위의 김

박한슬의 숫자읽기 뉴스

[박한슬의 숫자읽기] 남미 오징어와 땅 위의 김
남미오징어 어획량훔볼트 오징어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8 sec. here
  • 11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0%
  • Publisher: 53%

30년 전인 1994년에는 오징어 어획량이 연간 20만t에 달했다. 그러다 15년 정도가 지나자 명태 어획량은 사라졌고, 다시 15년이 흐른 지금은 오징어 어획량이 난류성 어종인 방어 어획량에 추월당한 상태가 됐다. 제주대 정석근 교수가 『되짚어보는 수산학』에서 짚었듯, 금어기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어민의 탓도 아니고, 중국 어선의 남획만이 원인인 것도 아니다.

매년 4월과 5월은 오징어 어획이 불가능한 금어기 다. 그렇지만 이 시기에도 우리는 짬뽕과 진미채를 먹는다. 연간 4만t 정도 수입되는 냉동 오징어 덕분이다. 흔히 ‘ 대왕오징어 ’라 불리는 훔볼트오징어는 남미 페루 연안에서 주로 잡힌다. 과거 울릉도 가 그랬듯 적도에서 내려오는 난류와 남극에서 올라가는 한류가 만나, 오징어가 살기 최적인 조경수역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페루도 울릉도 가 겪은 것과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수온 상승으로 조경수역이 형성되는 위치가 점점 남극에 가까운 곳으로 이동해, 훔볼트 오징어 가 잘 잡히는 어장이 칠레 인근으로 조금씩 내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어장 변화는 국내에서도 오래 관찰되고 있다. 30년 전인 1994년에는 오징어 어획량이 연간 20만t에 달했다. 동해에서 한류성 어종인 명태가 7600t씩 잡히던 시기다. 그러다 15년 정도가 지나자 명태 어획량은 사라졌고, 다시 15년이 흐른 지금은 오징어 어획량이 난류성 어종인 방어 어획량에 추월당한 상태가 됐다. 제주대 정석근 교수가 『되짚어보는 수산학』에서 짚었듯, 금어기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어민의 탓도 아니고, 중국 어선의 남획만이 원인인 것도 아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그간 우리가 익숙하게 알던 한반도 주변의 해양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바뀐 탓이다. 어민들이 금어기를 아무리 잘 지켜도, 기후변화로 오징어는 영영 돌아오지 못한다.차라리 수입이라도 되는 오징어와 달리, 수입할 곳도 마뜩잖은 해산물도 있다. 최근 미국 시장에 진출해 K-푸드 열풍을 이끌고 있는 김과 같은 해조류다.

어쨌거나 오징어 대신 방어가 잡히니, 그것대로 괜찮은 것 아니냐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연근해 어획량은 계속 곤두박질치는 중이다. 2016년엔 통계 작성 이후 40년여 만에 처음으로 100만t의 어획량이 깨지더니, 2022년에는 89만t까지 줄었다. 조명 달고 오징어 잡던 배가 하루아침에 방어잡이 배로 바뀔 수가 없고, 고령화된 어촌에서 새 어족에 대한 정보를 얻고 기술을 습득하는 데도 어려움이 커서다. 제대로 된 어민 지원 없이 우리 어업이 기후변화의 여파를 제대로 넘길 수 있을 지 모르겠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남미 오징어 어획량 훔볼트 오징어 냉동 오징어 금어기 대왕오징어 페루 울릉도 기후변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金값된 김...정부, 김 양식장 늘리고 계약재배도 검토金값된 김...정부, 김 양식장 늘리고 계약재배도 검토최근 김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가운데 정부가 김 생산량을 적극 늘리고 계약재배 도입도 검토하기로 했다. 25일 해양수산부는 오는 7월부터 2700ha 규모의 김 양식장을 신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해수부는 2000ha 규모의 김 양식장 신규 개발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를 2700ha로 늘리고 구체화한 것이다. 해수부는 이달말 시·군·구에서 제출한 양식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힐러리 한 “여성은 어떤 기준에 맞추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다” [플랫]힐러리 한 “여성은 어떤 기준에 맞추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다” [플랫]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힐러리 한은 무대 위의 흐트러짐 없는 테크닉과 우아한 표현력으로 이름이 높다. 그런 면에서 한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힐러리 한 “여성은 기준에 맞춰 보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다”힐러리 한 “여성은 기준에 맞춰 보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다”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힐러리 한은 무대 위의 흐트러짐 없는 테크닉과 우아한 표현력으로 이름이 높다. 그런 면에서 한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치솟은 김값, 수입가 낮춘다치솟은 김값, 수입가 낮춘다국내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치솟고 있는 김에 대해 할당관세가 적용된다. 해양수산부는 김 가격 안정화를 위해 10일부터 김 생산 시기 이전인 9월30일까지 마른김 700t(기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무것도 안 받았다면 아무것도 안 일어난다”“아무것도 안 받았다면 아무것도 안 일어난다”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명품가방을 건넨 의혹을 받는 최재영 목사가 김 여사에 대해 “아무것도 받지 않았다면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며 “김 여사가 대통령의 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명품백’ 건넨 최재영 목사 “김건희 여사가 안 받았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명품백’ 건넨 최재영 목사 “김건희 여사가 안 받았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명품 가방을 건넨 의혹을 받는 최재영 목사가 김 여사를 향해 “아무것도 받지 않았다면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며 “김 여사가 대통령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9 12:0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