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는 달랐던 라파누이 야자수의 운명 16세기의 어느날 태평양 한 외딴섬에 폴리네시아인들이 정착했다. 섬에는 지배층인 긴 귀 부족과 피지배층으로 차별받는 짧은 귀 부족이 살...
영화와는 달랐던 라파누이 야자수의 운명
멸종은 어떤 종이나 개체군의 마지막 생존자가 죽었다는 뜻이다. 이런 과정은 자연적인 현상이며 지구에서는 늘 일어나는 일이다. 과학자들은 현재 생존 중인 생명 종은 지금까지 지구에 살았던 모든 종의 1%도 안 될 것이라고 추정한다. 멸종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대멸종과 배경멸종.로그인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경향신문 콘텐츠입니다. 기사를 계속 읽으시려면 로그인을 해주세요. 회원가입 로그인 대멸종은 수만~수백만년에 걸친 비교적 짧은 순간에 발생하는 동시다발적인 멸종을 말한다. 이에 반해 배경멸종은 어떤 종의 형성과 멸종 주기에 따라 한 종이 다른 종으로 자연적으로 대체되는 사건이다. 대멸종은 대부분의 생물군을 없애고 생태계를 재편하기 때문에 주목을 받는다. 하지만 자연사에서 대멸종만으로 대부분 종의 소멸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지금까지 멸종된 생물종의 90%는 배경멸종을 통해 사라졌다.
포유류는 식물보다 훨씬 더 활발히 연구되고 있고 죽은 후에 이빨과 뼈 같은 증거를 남긴다. 이에 반해 식물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멸종을 철학자 조지 버클리의 이름을 따서 ‘버클리 멸종’이라고 한다. 그는 이렇게 물었다. “주변에 소리를 들을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숲에서 쓰러지는 나무가 비명을 지를까?” 상당히 많은 식물의 멸종을 우리는 알아차리지도 못한다. 또 이미 ‘기능적 멸종’, 즉 살아 있기는 하지만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지 못해서 새로운 세대를 생산하지 않아 멸종할 운명에 처해 있는 식물도 있다. 멸종 선언은 쉽지 않다. 아무리 눈에 띄지 않아도 멸종되었다고 결론을 내리기까지는 최소 50년을 기다린다.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 종이 재발견되는 행복한 사건이 가끔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런 종을 라자루스 종이라고 한다.
영화 는 식물 멸종의 원인을 밝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라파누이 야자수의 멸종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기후변화와 과도한 사냥과 채집이라는 두 가지 주장이 있다. 또는 두 가지가 결합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아무튼 라파누이 야자수의 멸종은 인류가 섬에 도착한 시기와 일치했다. 나무가 점차 줄어들자 토양 침식이 증가하고 땅의 비옥도가 떨어졌다. 생태계가 쇠퇴하는 속도가 빨라졌다. 덩달아 섬 주민들은 농업 생산성이 낮아졌고, 심해 어업에 필요한 대형 카누를 더 이상 만들 수 없게 되어 식량을 공급하지 못했다. 라파누이 야자수의 멸종은 이스터섬 사회의 붕괴로 이어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벤츠·폭스바겐 있는데도…성장엔진 꺼졌다는 독일에 무슨일이?독일 올해도 역성장 공포…한국에 주는 교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업정책 실패·소극적 투자 … 獨, 유럽경제 문제아로독일 올해도 역성장 공포 … 한국에 주는 교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멸종열전]호주에 발 디딘 인간…그 후 초식 유대류가 사라져갔다오스트레일리아의 동물을 열거해보자. 먼저 배에 있는 주머니에서 새끼를 키우는 유대류가 떠오른다. 두 발로 뛰어다니는 캥거루, 나무 위에서 졸고 있는 코알라, 정육각형 똥을 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상 시즌 7일 개막…올해 화두는 참혹한 전쟁·마법같은 AI(서울=연합뉴스) 김정은 기자=인류 안녕과 문명 진보에 기여한 인물을 골라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귀감으로 널리 알리는 노벨상 시즌이 올해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철기 문명 기원을 찾아…가야 땅에 ‘히타이트 유물’ 펼치다우리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쇳덩이(철)를 만들어 쓴 사람들로만 그들을 기억하곤 한다. 기억을 굳이 덧붙이자면 쇠를 무기로 만들어 무지막지한 정복전쟁을 벌였던 중동 부근의 고대 제국을 이루었다는 정도일 터다. 기원전 1700~1200년께 오늘날 튀르키예의 강역인 아나톨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과 삶] 인류 문명 ‘마스터키’ 쥔 AI···‘재앙’이다(2015), (2017), (2018) 등 화제의 책들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무명의 이스라엘 역사학자에서 세계적 베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