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춘추] 번아웃증후군 관리

대한민국 뉴스 뉴스

[매경춘추] 번아웃증후군 관리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최근 필자가 고객사의 경영진과 만나는 자리에서, 혹은 지인들과 사적 모임을 갖는 자리에서, 심지어 가족들과 얘기하는 자리에서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하나 있다. 바로 '번아웃(burnout)'이라는 단어다. 며칠 전에도 국내 유수 대기업의 CEO가 '2년 전 취임한 이후 하루도 쉬지 않고 변화와 혁신을 진두지휘해왔는데, 요즘 보니 조직 전체가 '번아웃증후군..

최근 필자가 고객사의 경영진과 만나는 자리에서, 혹은 지인들과 사적 모임을 갖는 자리에서, 심지어 가족들과 얘기하는 자리에서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하나 있다. 바로 '번아웃'이라는 단어다. 며칠 전에도 국내 유수 대기업의 CEO가"2년 전 취임한 이후 하루도 쉬지 않고 변화와 혁신을 진두지휘해왔는데, 요즘 보니 조직 전체가 '번아웃증후군'에 빠진 것 같아 걱정"이라며 필자의 조언을 구한 적이 있었다.

번아웃증후군의 사전적 정의가 '극도의 스트레스로 인해 기력이 소진되어 무기력증, 우울증에 빠지는 현상'이라는데, 불확실성 가득한 작금의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분투하는 개인·가정·기업 대다수가 번아웃증후군으로 고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된다. 무엇보다 우리 기업에 만연하고 있는 번아웃증후군은 각 기업의 생산성과 성과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주요 산업 및 국가 경제의 지속적 혁신에 심대한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시급한 대응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우리 기업들이 번아웃증후군을 극복하고, 변화와 혁신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필자의 경험에 따르면 크게 4가지 핵심 요소에 대한 면밀한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조직의 변화 수용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개인이든 조직이든 감당 가능한 변화의 한계치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를 무시하고 동시다발적으로 과도한 변화를 추진할 경우 조직의 번아웃은 필연적 결과일 수밖에 없다. 주요 과제들 사이의 선후관계 및 우선순위를 명확히 정의하고, 조직이 감당 가능한 수준의 변화부터 시작해야 한다. 둘째, '왜-무엇을-어떻게'를 균형 있게 포괄하는 혁신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명확히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필요하다. 혁신을 주도하는 대다수 경영진은 끊임없이 '무엇을'을 전달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은 반면, 구성원 입장에서는 'Why'가 없는 'What'은 맹목적이고, 'How'가 없는 'What'은 공허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셋째, 혁신의 여정 중간중간에 조직의 성과를 제대로 인정하고 정당하게 보상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요컨대 번아웃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단순히 구성원들의 육체적·정신적 피로를 줄이는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조직 전체가 변화와 혁신 추진에 필요한 에너지를 항시 충분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 번아웃증후군 관리의 핵심임을 우리 기업들이 유념해주길 기대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춘추] 코시스 몬시스 토시스[매경춘추] 코시스 몬시스 토시스2006년 독일월드컵에서 우리나라는 아프리카의 토고와 승부를 겨뤘다. 전반전에 토고에 1골 역습을 당하였으나 후반전에서 이천수와 안정환 선수의 멋진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우리나라는 원정 월드컵 첫 승을 이루게 되었고, 우리 가족에게 그날 밤은 어느 6월의 멋진 추억이 되었다. 그로부터 18년이 지난 6월 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기 며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일하랴 아이 키우랴[매경춘추] 일하랴 아이 키우랴예나 지금이나 일하며 아이 키우는 일은 힘들다. 1990년대 국립보건안전연구원에서 공무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나는 1999년 쌍둥이가 태어나며 아이 셋 워킹맘이 됐다. 일하며 아이 셋을 키우는 것은 기행에 가까웠다. 양가 부모님과 남편의 도움이 있었음에도 역부족이었다. 육아휴직은 한 번도 못했고, 출산휴가도 다 사용하지 못했다. 야근이나 주말 근무 때 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승자독식 사회[매경춘추] 승자독식 사회그룹 아바(ABBA)의 'The winner takes it all'이라는 노래를 좋아한다. 멜로디가 마음에 들어 좋아했을 뿐 가사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가사 내용을 찾아보니 연인을 빼앗긴 여인의 슬픈 심정을 승자에게 모든 것을 뺏긴 패자의 마음에 비유한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으면 세상 모든 것을 다 잃은 것 같고, 반대로 쟁취하면 세상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한국 보험산업의 과제[매경춘추] 한국 보험산업의 과제암스테르담의 한 공공장소에서 휴대전화 충전을 위해 전기 플러그 사용을 요청했더니, 공공전기의 사적 사용은 불가하고, 필요하다면 요금을 지불하라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공공기관의 다양한 혜택을 누리는 상황과는 대조적이었다. 이러한 경험은 공정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최근 국제사회는 급격한 변화와 다양한 위기에 대응하고자 혁신과 개선에 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직원의 CEO 평가[매경춘추] 직원의 CEO 평가작년 10월, 회사가 어려울 때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했다. 매출이 2년 연속 감소하고 있었다. 10년 먹거리를 만들겠다는 목표하에 '조폐가 산업이 되다'라는 어젠다를 세웠고, 화폐 제조 과정의 위·변조 방지기술과 압인·세공기술을 활용해 정보통신기술(ICT)·문화·수출기업으로 사업 전환을 서둘렀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소통을 강화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확성기 소음 유감[매경춘추] 확성기 소음 유감저녁 약속이 있어 이르게 나선 퇴근길에 확성기를 통해 귀에 익은 운동가요가 들려왔다. 대로 건너편 한 대기업이 입주한 건물 쪽에서 나오는 확성기 노랫소리였다. '친구여, 가자 가자 자유 찾으러….' 대학 시절 많이 들어 귀에 익숙한 운동가요가 이번에는 전혀 정겹지 않고 귀만 괴로울 따름이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즐거운 퇴근길에 원치 않는 노래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3 23:2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