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데스크] 인구감축론, 그리고 다음 세대

대한민국 뉴스 뉴스

[매경데스크] 인구감축론, 그리고 다음 세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2%
  • Publisher: 51%

세계인구 통제하려는 구상추측이 아닌 엄연한 실제환경 명분으로 주장하지만그건 교만의 산물 아닐까

그건 교만의 산물 아닐까 "세계 인구를 통제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이 같은 주장은 단지 '음모론'일까.기사에 따르면 당시 모처에서 저명인사들의 비공개 모임이 열렸다. 빌 게이츠, 데이비드 록펠러, 조지 소로스, 워런 버핏, 테드 터너, 마이클 블룸버그 등이다.더타임스에 따르면 이 극비 회의에서 논의된 안건 중엔 '세계 인구 감축'이 포함돼 있었다. 참석자들은 게이츠의 설명을 토대로 '인구 과잉이 최우선 해결 과제'라는 데 동의했다고 한다. 게이츠 등은 오랜 시간 맬서스주의에 근거해 인구문제를 걱정해왔다고 WSJ는 전했다."오늘날 세계 인구는 68억명이다. 이제 90억명을 향한다. 우리가 새로운 백신과 의료, 출산 서비스에 대해 정말 훌륭한 일을 해낸다면, 아마도 10~15% 정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게이츠는 인구 증가율 억제가 탄소 감축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는"이산화탄소 배출로 온도가 상승하고, 온도 상승은 날씨에 악영향을 주고 생태계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며 결국 CO2를 제로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사람 수가 너무 많아졌다. 사람을 위한 각종 서비스·물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증가한다. 따라서 인구와 인구당 각종 서비스, 서비스당 에너지, 에너지당 CO2를 감축해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결국 인구 증가율 억제의 명분이 '탄소 제로'였던 셈이다. 그럴듯한 주장이지만 필자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우선 그들이 중시하는 맬서스 인구론은 현대에 맞지 않는 이론이다. 이 이론의 핵심은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만 식량 증가율이 이를 못 따라가 결국 인류가 식량위기에 봉착한다'는 것이다. 이는 자연스레 인구 통제론으로 귀결된다.죽은 줄로만 알았던 맬서스 이론은 1970년대 '신맬서스주의'로 부활했다. 이때부터 인구문제가 환경문제와 연결되기 시작한다. 게이츠의 강연도 이와 맥이 닿아 있다.하지만 탄소야말로 지구에 없어선 안될 귀중한 존재다. 지구의 녹색식물은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일부 환원시켜 탄수화물을 만든다. 동물은 이 탄수화물을 먹고 에너지를 만들어 생존한다.

모든 동물의 조직과 기관은 탄소 기반의 화합물로 만들어진다. 인간의 세포는 100% 탄소화합물로 구성돼 있다. 인류가 이뤄낸 첨단 산업 역시 탄소의 다양성을 토대로 한다. 오히려 탄소 제로가 지구 생태계에 재앙을 불러올 것이다.이 대목에서 필자는 한국의 다음 세대들에게 이렇게 제언하고 싶다."결혼하라. 단 한 명이라도 아이를 낳아라. 그리고 역사를 바꿀 위대한 도전에 나서라."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기고]예술과 스포츠 그리고 장인정신이 묻어난 파리 올림픽[기고]예술과 스포츠 그리고 장인정신이 묻어난 파리 올림픽100년 만에 파리에서 다시 열리는 2024 파리 올림픽은 안전, 교통, 환경 등 각 분야에 대한 프랑스의 도전이자 자산이면서 다음 세대 올림픽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가려진 얼굴, 벗겨진 가면[매경데스크] 가려진 얼굴, 벗겨진 가면세계 첫 AI규제법 발효되고주요국 줄줄이 규제한다지만AI는 데이터 장악한 지 오래'과잉투자론'은 빙산의 일각최소한의 규제마련 서둘러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40년 왕좌와 40년만의 굴욕[매경데스크] 40년 왕좌와 40년만의 굴욕올림픽 금자탑 쌓은 韓 양궁공정·투명한 시스템의 성공올림픽 탈락 충격 한국 축구불투명·비합리 논란에 추락한국사회 택할 모델은 명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매경데스크]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전국 흉부외과 전공의 12명조만간 심장·폐 수술 불가능의대증원 명분은 필수의료지금은 되레 빠르게 붕괴 중암환자도 수술 계속 밀려 한계최종책임자 尹, 해결책내놔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美양궁아재 말에 여의도가 부끄럽다[매경데스크] 美양궁아재 말에 여의도가 부끄럽다男양궁결승 석패한 엘리슨'챔피언답게 쏜 게 더 중요'싸우는 과정의 가치 알아韓국회 휘슬불어도 난투만한번이라도 국민에 감동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여야 대표회담, 스몰딜로 시작을[매경데스크] 여야 대표회담, 스몰딜로 시작을날씨와 정치양극화는 뉴노멀그래도 합법적 경쟁자 인식을韓·李 대표 만남은 좋은 기회정치적 상징될 장소 택해보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07: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