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 도미구스쿠 언덕에 오르면 오키나와 구해군사령부(旧海軍司令部壕)가 있다. 이 건물은 일본군이 지은 반원형의 지하 벙커로, 오키나와 전투의 거점이었던 장소다. 폭이 좁고...
오키나와 도미구스쿠 언덕에 오르면 오키나와 구해군사령부가 있다. 이 건물은 일본군이 지은 반원형의 지하 벙커로, 오키나와 전투의 거점이었던 장소다. 폭이 좁고 가파른 계단을 내려가면 지하 30m 아래에 좁고 낮은 방들을 볼 수 있다. 벙커 내부에는 패전을 직감한 해군 장교들이 수류탄을 이용해 집단 자살을 한 흔적이 남아 있다. 그들의 죽음은 누구의 선택이었을까.
오키나와 민간인들 또한 일본군에게 강제, 반강제로 죽임을 당했다. 일본군은 민간인을 차출해 전투에 투입시켰고 숨어 있던 주민들의 은신처와 식량을 빼앗았다. 미군의 포로가 되면 끔찍한 일을 당한다는 일본군의 거짓소문에 속은 수많은 오키나와인들이 가족과 함께 자결을 선택했다. 이름 없는 죽음들은 전쟁에서 집계되지 않는다. 일본 정부는 전쟁의 비극을 알리고 평화를 위한 공간으로 이용하겠다며 벙커 일부를 개방했지만, 출입구 옆에는 일본제국을 상징하는 야마토 전함의 모형이 놓여 있다. 벙커 안 벽에는 당시 사령관이었던 오타 미노루의 편지가 붙어 있다. 편지에는 오키나와 현민이 ‘함께 싸웠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만 사실 확인은 불가능하고 그들의 진짜 목소리를 확인할 길은 없다. 지하 벙커의 막다른 곳에 쌓인, 방문객들이 놓고 간 엔화 동전들이 무명의 죽음을 애도할 뿐이다. 동전을 놓은 수많은 무명인들은 무명인의 죽음을 슬퍼한다. 어디에도 기록되지 않은 죽음을.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1년이 넘도록 지난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레바논의 헤즈볼라가 하마스와 연합하면서 전쟁이 심화되었고, 이스라엘이 헤즈볼라의 수장 하산 나스랄라를 암살했음을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전쟁은 극으로 치닫고 있다. 수많은 폭격이 반복되고 이름 없는 죽음들이 숫자로 치환된다. 사라져간 수많은 이들의 이름은 어디로 가는가. 인류사에서 전쟁은 끝없이 반복되고, 싸우는 이들은 명분을 말한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헤즈볼라가 ‘성전’이라는 명분을 댈 때, 이름 없는 죽음은 계속 쌓여만 간다. 성스러운 것은 무엇이며, 전사란 이들은 무얼 지키는가? 목적 없는 신념 아래 소리 없이 사라지는 것은 평온한 일상을 바라는 이들의 생생한 삶이다. 시시각각 셀 수 없는 이름들이 사라지고, 순식간에 사라지는 삶은 21세기의 위령탑, 소셜미디어 속에서 하나의 이름으로 잠시 머물렀다가 이내 흩어진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도실무관'이 전자팔찌 찬 범죄자를 보는 아쉬운 시선(*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그럴 수도 있겠다. 법 잘 지키고 사는 선량한 시민의 입장에서 범법자와 재소자의 인권을 굳이 생각해 줄 필요가 있느냐고.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함무라비 법전 이래의 사적 복수를 금지하고 국가가 형벌로서 정의와 질서를 세운다는 작금의 상황이 마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지호 ''한동훈 치면 여사가…' 김대남, 좌파에 진영 팔아 먹어, 용산 내가 추천? 연결만'국민의힘 전당대회 당시 '서울의 소리'에 한동훈 후보를 공격해 달라는 취지로 말한 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 (유튜브 '서울의 소리')70억의 여론조사를 하는데 총선용 여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요르단 원정에서 얻은 진짜 수확, 눈에 띄는 이름들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요르단 원정에서 귀중한 승리와 함께 20대 젊은 피들의 가능성이라는 수확까지 얻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지난 10일(한국시간) 요르단 암만국제경기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B조 3차전 원정 경기에서 요르단을 2-0으로 제압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윤 대통령, 지금 홍명보에 신경 쓸 때인가[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240930~241004 오마이뉴스가 정리한 한주의 사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2년 반이나 남은 임기는 죽음처럼 너무 길기만 하다'[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240916~240920 오마이뉴스가 정리한 한주의 사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대통령도 처벌을 받아야 할 것'[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240923~240927 오마이뉴스가 정리한 한주의 사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