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산하 연구기관의 전문가가 2021년에 ‘후쿠시마 오염수가 바다로 방출되면 연안 생물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환경성 국립환경연구소 코다마 케이타 주간연구원은 2021년 2월 ‘국립환경연구소뉴스’에 게재한 ‘지진 재해·원전 사고 후 후쿠시마현 연안의 어패류 군집 변화’ 보고서에서 “현재 후쿠시마 제1 원전에 축적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처리수를 해양 방출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며 “오염수 해양 방출이 실시되면 연안 생물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또 “미래에 발생할 환경변화에 대한 생태영향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조사를 계속 실시해 환경인자 및 저서어패류 군집의 장기적 변동을 기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이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원전 사고 이후 후쿠시마현 연안의 어패류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국립환경연구소가 실시한 조사 결과다. 코다마 연구원은 “원전 사고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던 방사성 물질이나 기타 유해 물질에 노출됨으로써 단기적으로는 폐사하거나, 중장기적으로는 번식 능력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다”고 조사이유를 밝혔다.
같은 연구소의 호리구치 토시히로 환경리스크·건강연구센터 생태계영향평가 연구실장도 같은 달 국립환경연구소뉴스에 게재한 ‘후쿠시마 해역 조사’ 보고서에서 “후쿠시마현 연안·앞바다에서는 어업 조업이 정지돼 있어 어획 압력이 상당히 줄었지만, 이상하게도 저서 어패류의 개체 수는 해마다 감소 추세”라고 밝혔다. 호리구치 실장은 “ 대량의 방사성 핵종이 환경 중에 방출되었다. 그중 80% 이상이 해양에 침착하고, 대부분은 후쿠시마원전 주변 해역에 침착했다는 추정 결과가 있다”며 “ 본 광경이나 방사선 선량률은 필자에게 상당한 충격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로 방출된 방사성 핵종의 상당 부분이 주변 해역에 침착된 것으로 보이는데 연안은 어패류 번식의 장으로서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후쿠시마의 방사성 물질이 연안 어패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외교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국민 건강과 안전 최우선”외교부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는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사안이라며 과학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염수 방류 초읽기…한 총리 '안전 검증되면 마시겠다'일본 후쿠시마 원전을 운영하는 도쿄전력이 오늘(12일)부터 2주 동안 오염수 방류 설비를 시험 운전합니다. 최종 점검에 들어간 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회 대정부질문 이틀째…'후쿠시마 오염수 · 수산물 수입' 격돌경제 분야를 주제로 하는 오늘 대정부 질문에서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한덕수 국무총리와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등을 상대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여파와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에 대한 입장 등을 물을 계획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분 뉴스정복] '선관위 팔 비틀어 선거 이기면 시민들 승복할까'[10분 뉴스정복] '선관위 팔 비틀어 선거 이기면 시민들 승복할까' 컨텍스트레터 슬로우뉴스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염수 안전하면 생활용수로? 일본 정부 “피폭 안 된다”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바다 방류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이를 반대하는 쪽에선 오염수가 안전하다면 왜 일본에 두거나 재사용하지 않느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적극적으로 피폭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