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배달라이더 등 비임금 노동자 860만명 넘었다···50~60대에서 더 늘어

배달라이더 등 비임금 노동자 860만명 넘었다···50~60대에서 더 늘어 뉴스

[단독]배달라이더 등 비임금 노동자 860만명 넘었다···50~60대에서 더 늘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65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9%
  • Publisher: 51%

특수고용직·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등 비임금 노동자(인적용역 사업자) 규모가 처음으로 860만명을 넘어섰다. 비임금 노동자 절대 수는 2...

특수고용직·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등 비임금 노동자 규모가 처음으로 860만명을 넘어섰다. 비임금 노동자 절대 수는 20대 이하 청년층에서 많았지만, 60대 이상 고령층이 1년 사이에 가장 많이 늘었다. 내수 침체 타격으로 전반적인 비임금 노동자의 증가 추세는 둔화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5일 국세청에서 받아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23년 기준 인적용역 사업소득 원천징수 대상 인원은 862만명이다. 2019년 669명에서 4년 만에 193만명 더 늘었다. 연평균 48만명씩 늘어난 셈이다.비임금 노동자 증가율은 코로나19 대유행기인 2021년 11.9%로 최고점을 찍고 2022년 7.5%로 떨어진 뒤 2023년엔 1.7%로 내려왔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2022년 2.7%에서 2023년 1.4%로 떨어졌다. 내수 침체 영향으로 비임금 노동자도 증가세가 둔화한 것으로 풀이된다.2023년 한 해 동안 비임금 노동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는 60대로 1년 전보다 12만명 늘었다. 50대 비임금 노동자도 전년보다 5만7000명 늘었다. 50~60대 들어 주된 일자리에서 밀려난 이들이 노후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불안정 노동시장으로 진입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체 비임금 노동자의 1인당 연 평균소득은 1695만원이었다. 비임금 노동자 중 연 소득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대로 평균 2283만원이었다. 50대 중에 ‘풀타임’ 비임금 노동자가 많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어 40대, 60대, 30대, 20대 이하 순으로 연 소득이 많았다. 성별로 보면 여성 비임금 노동자의 연평균 소득은 1150만원으로 남성 소득인 2306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업종별로 보면 ‘기타 자영업’이 485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타 자영업자는 전년보다 29만명 늘어 증가 폭도 가장 컸다. 학원강사는 전년보다 2만6000명, 유튜버 등 1인 미디어콘텐츠 창작자는 1만4000명, 대리운전 기사도 1만4000명씩 늘어났다. 반면 방문판매원은 1년 새 12만명 줄었고, 다단계 판매자는 8만3000명, 퀵서비스 종사자는 4만3000명 줄었다.

차 의원은 “매년 수십만명씩 늘어나던 비임금 노동자가 2023년에는 증가 폭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은 경기침체의 영향을 불안정한 일자리부터 즉각적으로 받았기 때문”이라며 “여전히 노동법 사각지대에 있는 비임금 노동자들을 사회보험 가입 등 사회안전망에 적극적으로 편입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특수고용직·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등 비임금노동자 규모가 85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동법 밖 노동자 규모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22년 인적용역 사업소득 원천징수 대상 인원은 847만명이다. 2011년 328만명가량이던 대상 인원은 매년 50만명 안팎의...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신축 전세 들어가볼까”…서울서만 내달 4600가구 입주, 어디길래“이번 기회에 신축 전세 들어가볼까”…서울서만 내달 4600가구 입주, 어디길래2월보다 입주량 3배이상 늘어 ‘장위자이’ 등 서울 4666가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잘늙어야 모두가 편하지”…편의점·배달앱서도 불티나게 팔리는 ‘저속노화’ 상품“잘늙어야 모두가 편하지”…편의점·배달앱서도 불티나게 팔리는 ‘저속노화’ 상품저속노화 관련 상품 매출 증가세 배달앱서 샐러드 등 매출 늘어 편의점서도 잡곡 등 상품 인기 “헬시플레저서 저속노화로 진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본토보다 미국서 더 수익률 좋네…흥하는 中기업도 美증시서 투자가 더 이득본토보다 미국서 더 수익률 좋네…흥하는 中기업도 美증시서 투자가 더 이득항셍지수 급등에도 美주가가 더 상승 중국 정부 규제 등 요인에 불투명성↑ 미국 시장 선진국 효과로 더 고평가 고수익 내려면 ADR 종목 투자 전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거리 300야드, 올해도 정상 밟아아죠''비거리 300야드, 올해도 정상 밟아아죠'시니어 최고 성적 도전 양용은올해로 간헐적 단식 10년째근육량 늘리려 주 6회 운동드라이버샷 거리 점점 늘어'매년 시드 걱정하지만 행복10년 더 현역 생활하고싶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6개월만에 … 이더리움, 2000불도 깨졌다16개월만에 … 이더리움, 2000불도 깨졌다올해에만 벌써 35% 급락주요 코인 중 성적표 '꼴찌'솔라나 등 경쟁 코인에 밀린 탓밈코인 열풍 등 유행 흐름 못 타해킹 사태로 투자심리 더 악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구 시민들, '윤석열 파면' 외치며 시국대회 참석대구 시민들, '윤석열 파면' 외치며 시국대회 참석한파 속에서도 '윤석열 파면'을 외치며 시국대회에 참석한 대구 시민들의 열정이 눈길을 끄는 가운데, 탄핵, 반동 정치, 노동자 탄원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0 18: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