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38마리 집단 폐사…'조류 인플루엔자' 원인 SBS뉴스
지날 달 24일 서울 용산의 한 보호시설에 있던 고양이 40마리 가운데 고열과 식욕 부진으로 3마리가 죽었고 이후 하루 이틀 간격으로 모두 38마리가 집단 폐사했습니다.지난 17일 발표된, 폴란드의 고양이 29마리 AI 집단 폐사가 세계 최초 사례, 이번 국내 사례는 세계에서 두 번째입니다.
[송대섭/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 : 고양이로 H5N1 바이러스의 감염 사례는 종종 있었어요. 아주 드물긴 하지만. 그런데 이제 이렇게 대규모로 많이 죽은 케이스는 처음이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굉장히 우려가 된다라고 WHO도 ]문제는 고양이를 집단 폐사시킨 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와 다른 새로운 변이 가능성, 특히 포유류 전파에 용이한 변이가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송대섭/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 : 유전자의 PB2라고 하는 유전자에 627K라고 하는 돌연변이가 있어야 되는데, 폴란드 사례의 경우에는 이 변이가 확인이 됐고요. 지금 우리나라에서 발생 된 이 바이러스도 이 돌연변이가 있는지 여부가 지금 분석 중입니다.]Q. 고양이 집단 폐사, 우려 점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 그동안 AI 바이러스 고양이 몸에 잘 안 달라 붙었습니다. 그래서 매우 드물었고 감염돼도 한 마리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고양이가 집단으로 감염됐다는 건 바이러스가 고양이에게 잘 달라붙도록 변했다는 거겠죠. 폴란드 사례에서는 확인됐고 우리는 확인 중입니다. 다만 사료를 먹고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는 걱정할 필요 없겠고 야생동물을 먹고 사는 길고양이들은 좀 접촉을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조동찬 의학전문기자 : 조류인플루엔자의 치명률은 50%를 넘는데도 사망자가 많지 않은 건 이 AI 바이러스가 사람 몸에 잘 안 달라붙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닭이나 오리 같은 조류를 매일 접촉하는 사람 말고는 일반인은 거의 감염성이 없는데요. 이번 고양이 집단 폐사의 원인 바이러스도 당장은 사람을 감염시키지는 않을 텐데 다만 앞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조동찬 의학전문기자 : 고양이는 사람과 접촉이 많은 반려동물인데 접촉이 많으면 바이러스가 달라붙는 특성도 닮아갑니다.
[송대섭/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 :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바이러스가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재출현, 그러니까 과거에 문제가 됐던 고병원성 H5와 같은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다시 새로운 '질병X'로 출연하는 것이 아니냐….]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질병청 “여름철 이례적 독감 유행…개인 위생수칙 준수”이례적으로 여름철에도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이어지자 방역당국이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름철 이례적 인플루엔자 유행... 개인위생수칙 철저 당부여름철 이례적 인플루엔자 유행... 개인위생수칙 철저 당부 질병관리청 인플루엔자 여름철유행 유창재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양이 2마리 고병원성 AI 확진…2016년 이후 7년만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서울 용산구의 한 동물보호소에서 기르던 고양이 두 마리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된 것으로 최종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국 어린 소나무들의 떼죽음, 산림청 왜 이러나전국 어린 소나무들의 떼죽음, 산림청 왜 이러나 산림청 기후_위기 남성현산림청장 산불_임도 탄소중립 최병성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