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서 무고한 옥고를 치른 인혁당 재건위 사건 과거사 피해자가 법원의 엇갈린 판결과 정부의 배상금 이자 환수 방침이 만든 빚더미에 고통을 받고 있다.
그 사이 이자 붙어 반환 금액 15억원 달해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의 피해자 이창복 선생. 자료사진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으로 억울하게 옥고를 치렀던 이창복 선생이 재심 무죄 판결 뒤 가지급 받았던 국가배상금 일부와 이자 등을 포함해 15억원을 물어낼 처지에 놓였다. 법원이 이 선생의 반환 책임을 덜어줄 수 있는 조정안을 권고했지만, 정부가 거부했기 때문이다. 젊어서 고문과 무고한 옥고를 치렀던 과거사 피해자가 황혼에 이르러 국가가 만든 배보다 배꼽이 큰 빚더미에 고통을 받는 모습이다. 서울고법 민사9부가 심리 중인 청구인의 소송에서 검찰과 국가정보원 등 정부를 대리하는 정부법무공단이 법원이 제시한 화해권고안에 대한 이의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정부가 이자 전액 환수 방침을 고집하면서 2심에서만 두 번이나 화해 조정이 결렬됐다. 이 사건은 인혁당 재건위 사건 피해자 이창복 선생이 제기한 소송이다.
이 선생은 오랜 세월 신세를 졌던 주변에 쌓인 빚을 갚고, 인혁당 피해자에 대한 추모사업을 하는 49통일평화재단에 기부를 하느라 배상금 상당액을 소진한 상황이었다. ‘줬다 뺏는’ 국가배상금에 분노한 피해자들은 정부에 맞섰고, 2015년 6월 최종 패소했다. 정부는 손해배상금을 반환하지 못한 피해자들의 집을 경매에 넘기는 등 강제집행 절차에 들어갔다. 이 선생의 집도 2017년 3월 경매에 부쳐졌다. 이후 이 선생은 2019년 5월 정부의 강제경매 결정을 취하해 달라는 소송을 내 현재 2심이 진행 중인 상황이다. 1심은 패소했다. 그 사이 이 선생이 반환해야 할 돈에 이자가 10억원이나 붙었다. 지난 4월12일 재판부는 이 선생이 올해 말까지 5천만원, 내년 상반기까지 4억5천만원 등 총 5억원만 정부에 상환하고 나머지 이자는 내지 않도록 하는 화해권고안을 소송 당사자들에게 제시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6월 반환 용산공원 예정지도 발암물질 범벅…정부, 정화 없이 9월 개방 강행 수순정부는 이 부지가 주한미군 숙소로 사용된 곳이라 발암물질의 위해도가 높지 않다는 입장이지만 환경부 조사 결과 이곳에서만 총 세 건의 유류 유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새 정부 검찰 인사 임박...서울고검장에 이두봉, 수원고검장은 박찬호한 장관이 전날 취임과 동시에 부활시킨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의 수장으로는 정희도 부장검사가 낙점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코로나 손실보상안에 허점' 국회 의견에…정부 '극히 일부분'윤석열 정부 첫 추가경정예산안의 핵심인 소상공인 손실보상안과 관련해 '매출 감소액이 적은 소상공인이 매출 감소액이 더 큰 영세 소상공인보다 더 많은 지원금을 지급받는 문제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국회 검토 의견이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앉자마자 농민 비료값 부담 떠넘긴 윤석열 정부2022년도 2회 추가경정예산안에서 무기질비료 농가 보조지원 사업을 위해 반영된 추경예산은 600억원으로, 전체 소요 예산 6003억원의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경예산 윤석열정부 비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실무접촉 제안에 이틀째 무응답…정부 '호응 기대'(종합2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제성 박수윤 기자=북한이 코로나19 방역 협력을 위한 우리 측의 실무접촉 제안에 이틀째 응답하지 않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스AS] 경총 ‘개정 요구’, 정부 ‘손질 예고’…중대재해법 어디로 가나중대재해처벌법이 지난 1월27일부터 시행된 가운데, 경영자가 해야 할 각종 안전 확보 의무를 제한하자는 경영자단체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최근 윤석열 정부에 제출한 6가지 중대재해법 개정 요구 건의서를 살펴봤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