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조금 전 보신 것처럼 응급실 상황은 점점 더 나빠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응급실 중 특히 위험한 25곳을 매일 지켜보고 있다 했는데 그곳들이 어딘지, 또 어떤 상황인지 저희가 확인해 보니 이런 '위험 응급실
조금 전 보신 것처럼 응급실 상황은 점점 더 나빠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응급실 중 특히 위험한 25곳을 매일 지켜보고 있다 했는데 그곳들이 어딘지, 또 어떤 상황인지 저희가 확인해 보니 이런 '위험 응급실'은 전국에 걸쳐 있었고 응급의료의 최후의 보루라고 할 수 있는 권역응급센터가 60%가량이나 됐습니다.취재진이 이곳들을 확인해 보니, 집중관리대상의 60% 가량이 응급의료 최후의 보루인 '권역응급의료센터'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응급실이 24시간 운영되려면 의사가 최소 12명 이상 있어야 하는데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겁니다.순천향대 천안병원 등 충청권 6곳, 전북대병원 등 호남권 3곳, 경북대병원 등 영남권 6곳, 강릉아산병원 등 강원권 2곳이었습니다.25곳의 응급실이 제대로 운영되려면 단순 계산을 하더라도 70명 이상의 응급의학 전문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이런 식의 땜질 대책으론 의료 공백을 제대로 메우지 못할 거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건국대충주병원 건양대병원 단국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 순천향대천안병원 충북대병원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응급실 붕괴론' 반박나선 정부 '전체 응급실 99% 24시간 운영'(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응급실 붕괴론'이 나올 정도로 전국에서 응급실 위기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자 정부가 대부분의 응급실이 24시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후의 보루, 수술실 절반 문 닫아'…살릴 환자도 못살린다 [의료공백 반년]수도권의 한 권역응급센터의 교수는 '전공의 4명이 수술방 하나씩 들어가고 교수 1명이 책임자로 마취를 담당했는데 지금은 전공의가 없으니 교수가 1개 수술방밖에 못 들어간다'고 말한다. 최근 심장 마취전문 의사 4명 중 3명이 사직하면서 응급 수술이 불가능해졌다'며 '관상동맥우회로 수술, 심장판막수술 같은 심장병 수술도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한동우 대한마취통증의학회 기획이사(강남세브란스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마취과 의사 부족이 진행돼 오다 이번 사태로 결정타를 맞았다'면서 '마취통증의학과를 지원하는 전공의가 늘고 있지만 수술실 마취과 의사보다 통증 분야가 인기를 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중증응급진료 제한, 오래된 문제…필수의료 인력 부족 탓'(종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정부는 최근 응급실 운영 차질의 원인으로 꼽히는 의사 수 감소는 올해 2월 전공의 집단 사직에 따른 것이라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응급실 전문의 늘어…전체 의사 감소는 전공의 이탈 때문'(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정부는 최근 응급실 운영 차질의 원인으로 꼽히는 의사 수 감소는 올해 2월 전공의 집단 사직에 따른 것이라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응급실만 연다고 환자 받을 수 있나' 핵심은 배후진료 위기(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응급실 대책만 내놓는다고 될 일이 아니에요. '배후진료'가 안되면 응급실에서 환자를 받고 싶어도 못 받는다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응급실 축소 운영 6.6%뿐”…의료계 “문 닫는 곳 더 늘 것”정부가 응급실 이용 차질 대책으로 4일부터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를 진료 제한 응급실에 긴급 배치하고, 응급의료 공백 위험이 높은 23개 의료기관에 대해 매일 모니터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