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해군 추정되는 공무원 작년부터 정보 빼돌린 정황 軍인트라넷 접속할 수 있는 군인 아이디·비밀번호 유출 한미 훈련 관련 문서도 판매 수사기관 “사실관계 확인중”
수사기관 “사실관계 확인중” 현직 해군으로 추정되는 한 공무원이 텔레그램을 통해 공무원증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를 사용하며 군사기밀을 판매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채널 운영자는 파일명 ‘개인신상기록카드’, ‘공군’, ‘국방부’, ‘국직’, ‘육군’, ‘인사정보체계’, ‘해군’과 같이 군인의 신상과 부대 내부 자료, ‘작계’, ‘작계20’과 같은 군사작전계획을 판매하고 있었다. ‘광성’, ‘신성’, ‘오션테크’ 등과 같은 방산업체 이름으로 보이는 파일도 다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군 인트라넷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만들어 판매했다. 군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실제 군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판매하면서, 해당 군인이 접속하고 있을 때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는 안내 문구를 올리기도 했다. 그는 작년 8월 “이번 업데이트 이후 기존의 군번과 비밀번호는 사용불가합니다. 새로운 군번과 비밀번호를 메일로 보냈습니다”라는 글을 게시했다.지난 2월에는 외부에서 군 ‘온나라’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과 내부 서류를 외부로 유출하는 방법 등을 판매하며 ‘대한민국 해군’이라고 적힌 홈페이지 사진을 올렸다. 군 온나라 시스템은 군의 모든 업무를 온라인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그가 판매하는 정보 중에는 국산 헬기 수리온 관련 자료도 있었다. 같은 달 “업계 최고의 인맥으로 저희는 군 내부에 조력자들과 국방과학연구소 등 여러 곳에 조력자들이 있습니다”라며 KUH-1에 관한 자료 판매 홍보글을 게시했다. 헬기 부품 중 일부로 추정되는 사진도 함께 올렸다. 이에 대해 국방과학연구소 측은 “해당 사건과 전혀 연관이 없다”고 해명했다.현재 이 사건은 국군방첩사령부가 국정원, 경찰과 함께 수사 중이다. 이처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방위산업기술을 해외로 유출하거나 구매자를 모집하는 행위는 방산기술보호법에 저촉돼 최대 징역 20년형에 처해진다. 실제로 자료를 넘기지 않는 사기라 해도 예비·음모죄 등으로 처벌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사건처럼 SNS를 통한 군사기밀 판매는 단기간에 피해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신속한 수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범죄 시작 시점이 1년이 다 되어가고 있는데도 수사망은 좁혀지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해군, 한화의 美 조선소 인수에 '해군 강화할 게임체인저'(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미국 해군은 한화그룹의 미국 조선업체 인수가 중국과의 경쟁에서 필수인 미국 조선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우 지켜줘야 해병대'...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흘렀다'예비역 해군 중령, '채 상병' 입법청문회 지켜 본 소회 밝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천조국 진출, 코앞으로 다가왔다”…이르면 하반기 ‘K방산’ 출격한다는데LIG넥스원, 美로봇업체 곧 종결 내달 유도로켓 ‘비궁’ 성능평가 HD현대중공업 함정MRO 추진 KAI는 해군 훈련기 수주 나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색로봇·유도로켓…K방산 美진출 초읽기LIG넥스원 내달 비궁 성능평가고스트로보틱스 인수 곧 종결HD현대重 함정MRO 추진KAI는 해군 훈련기 수주나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스공사 임원들, ‘유전 브리핑’ 직후 급등한 주식 팔아치웠다한국가스공사 임원들이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발표로 자사주 주가가 급등한 시기에 보유 주식을 대거 처분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12일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에 따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진숙만의 문제 아냐, 흉기는 생각보다 가까이 있다'전·현직 MBC 기자가 기억하는 '이진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