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이 운용하고 있는 ‘다수사상자 관리시스템’(MCMS)이 오류가 잦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가 부족해 현장에서 실시간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4일 확인됐습니다. 이태원참사 🔽 자세히 알아보기
올 24억 들여 스마트 플랫폼 구축 계획 지난해 10월29일 밤 10시15분 서울 용산 이태원 해밀턴 호텔 뒤 골목에서 압사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30일 새벽 사고 현장 모습. 박종식 기자 [email protected] 소방청이 운용하고 있는 ‘다수사상자 관리시스템’이 오류가 잦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가 부족해 현장에서 실시간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4일 확인됐다. 2018년 소방청이 자체 개발해 이듬해 전국에 보급한 이 시스템은 다수사상자 발생 때, 병원 정보나 이송환자 현황을 의료기관 등에 전파하고 여러 정보를 주고받는 구실을 한다. 윤건영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이 확보한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 무전녹취록을 보면,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는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난해 10월29일 오후 11시47분 “다수사상자 프로그램을 청에서 개방해놓은 상태고 환자 이송시에 수기 기록 철저히 하기 바람”이라는 무전을 보낸다.
하지만 현 시스템이 구급차량당 1개씩 주어지는 단말기에서만 접근이 가능하고, 유사한 내용을 입력하는 구급일지와 통합이 되어 있지 않아 구급대원이 서류를 이중으로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때문에 다수사상자가 발생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실시간 대응이 어려워진다. 실제로 이태원 참사 당시 해당 시스템을 활용했는지를 묻는 의 질문에 소방청은 “선착구급대는 환자 중증도 분류 중심으로 역할을 해 다수사상자 관리시스템은 활용하지 않았다”며 “구급대원이 응급처치 등으로 입력 지체 시 병원 이송 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을 두고 소방청은 재난 초기 구급상황관리센터와 현장 구급대원이 실시간으로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내부 메신저라고 설명했지만, 실제로 현장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 한계가 많은 것이다. 다른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159명으로 1명 늘어, 정부 생존 고등학생 극단적 선택 뒤늦게 ‘트라우마’ 인정정부가 이태원 참사 고등학생 생존자의 극단적 선택을 참사 트라우마로 인한 사망으로 인정했다. 행정안전부는 3일 이태원 참사 희생자 집계를 기존 158명에서 1명 늘어난 159명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주일 vs 열흘 이상' 이태원 국조 연장될까…증인 등도 이견(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동욱 안채원 기자=여야는 3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의 기간 연장을 두고 본격적인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닷새남은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연장될까…여야 동상이몽 여전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동욱 안채원 기자=여야는 3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의 기간 연장을 두고 본격적인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문회 간 김광호 서울청장 “참사 당일 경찰은 마약 예방 초점 둘 수밖에”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은 4일 이태원 참사 당일 경찰의 사전 대처에 대해 “압사라든지 인파 밀집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성 제기가 없었다”며 “마약과 범죄 예방에 초점을 둘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가 위증 논란에 휩싸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