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원자력발전소의 외부 전력 공급이 끊기는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 '비상 디젤발전기'입니다.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그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 됐죠.그런데 국내 대부분 원전의 '비상 디젤발전기'가 실제 비상 상황에서 화재나 오작동이 일어날 경우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그런데 국내 대부분 원전의 '비상 디젤발전기'가 실제 비상 상황에서 화재나 오작동이 일어날 경우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이때 '비상 디젤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해 원자로를 식혀야 하는데, 침수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원자로가 녹는 대참사가 발생한 겁니다.하지만 현재 가동 중인 국내 원전 27기 가운데 20기의 비상 디젤발전기가 화재나 소화 설비가 오작동을 일으켰을 경우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이로 인해 실내 온도는 영하 50도 이하로 뚝 떨어지게 됩니다.따라서 극저온 상태에서도 발전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하지만, 관련 시험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이정윤 /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 : 100회의 기동 및 부하 시험을 해서 한 번도 실패 없이 정상 작동해야 원자력발전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극저온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제대로 기기작동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한 사례는 단 한 군데도 없습니다.]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자동폐쇄장치는 원자로 시설 중 안전 등급, 소화설비는 비안전 등급으로 분류된 설비입니다.[제보자 / 원자력 시설안전 분야 전문가 : 안전등급 설비는 문제가 생겼을 경우 원자로 안전과 직결되는 설비입니다. 그런데 덜 중요한 비안전설비가 안전설비를 작동시킨다는 건 말이 안 되는 거죠.]그런데 최근 운영허가 심사에 들어간 신고리 5, 6호기는 안전 문제를 이유로 다시 스프링클러 방식이 선택됐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러, 자포리자 원전 국유화 발표…우크라 “법률 통한 기습공격”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를 국유화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하고 원전 운영도 러시아가 직접 통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원전국유화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취재N팩트] 원전 비상 디젤발전기에 극저온 소화설비...시험은 없었다[앵커]원전에는 외부로부터 전기 공급이 끊기는 비상 상황에 가동되는 디젤발전기가 있습니다.원전 안전의 최후 보루라고 불리는데요,이 비상 디젤발전기가 있는 곳의 소화설비 때문에 비상시 디젤발전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베트남인 학살 배상 소송 저지 방안' 은밀히 알아본 한국 정부한국 정부가 '베트남전 파병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의혹' 확산을 막기 위해 베트남에서 법리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 정부 ‘원전 수명 규제’ 없앨 기세…“후쿠시마 잊었나” 비판이미 절반이 30년 넘겼는데... 일본 정부가 원전 운전 기간을 최대 60년까지 가동할 수 있는 법 개정을 검토 중입니다. 🔽후쿠시마 교훈 벌써 잊었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백경란 '3332주' 보유했던 회사, 식약처 사업 단독 진행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3천주 넘게 주식을 보유했던 바이오 기업이 4백억 원 대의 국책사업에 참여한 사실이, 오늘(6일) 국정감사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