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하의 시시각각] 쿠르스크의 비극은 계속된다

쿠르스크 뉴스

[김정하의 시시각각] 쿠르스크의 비극은 계속된다
독소전쟁쿠르스크 전투쿠르스크함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10 sec. here
  • 9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1%
  • Publisher: 53%

당시 소련 쿠르스크 지역에선 서쪽으로 튀어나온 거대한 돌출부 모양의 전선이 형성됐는데, 나치는 이 돌출부를 포위ㆍ섬멸해 전선의 주도권을 되찾겠다고 결심했다. 병력 90만, 전차 3000여 대, 항공기 2000여 대를 동원했다. 그럼에도 쿠르스크 전투를 계기로 동부 전선의 주도권은 완전히 소련에 넘어갔고 나치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됐다. - 쿠르스크,독소전쟁,쿠르스크 전투,쿠르스크함,김정은,북한 파병,우크라이나,김정하의 시시각각

현대사에서 쿠르스크 는 전쟁의 광기와 어리석음을 보여주는 비극의 무대로 기억된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스탈린그라드에서 소련에 참패를 당한 나치 독일은 초조히 동부 전선에서 반격의 기회를 노렸다. 당시 소련 쿠르스크 지역에선 서쪽으로 튀어나온 거대한 돌출부 모양의 전선이 형성됐는데, 나치는 이 돌출부를 포위ㆍ섬멸해 전선의 주도권을 되찾겠다고 결심했다. 나치는 1943년 7월 5일 쿠르스크 돌출부의 북쪽과 남쪽에서 두 갈래로 대공세를 시작했다. 병력 90만, 전차 3000여 대, 항공기 2000여 대를 동원했다. 동부 전선의 가용 전력을 총결집했다. 히틀러는 이 정도면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지만 착각이었다. 스탈린은 병력 190만, 전차 6000여 대, 항공기 3000여 대로 맞섰다.이후 한 달여간 쿠르스크 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전투가 벌어졌다.

그렇다고 우리가 감상에 젖을 여유는 없다. 북한군의 피는 곧 우리를 찌르는 창으로 돌아온다.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위성·전술핵·핵추진잠수함 등의 기술을 넘겨줄 경우 한국의 안보는 심대한 위기를 맞을 수 있다. 동맹국들과 철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제 쿠르스크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독소전쟁 쿠르스크 전투 쿠르스크함 김정은 북한 파병 우크라이나 김정하의 시시각각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정하의 시시각각] 대통령, 부인 문제 비장한 결단해야[김정하의 시시각각] 대통령, 부인 문제 비장한 결단해야듣도 보도 못 했던, 그러나 알고 보니 아는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던, 명태균이라는 선거 브로커가 갑자기 튀어나와 영부인 공천 개입 논란이 불거지더니 사건이 점점 더 번지면서 급기야 명씨가 김 여사와 오갔던 카톡 메시지를 공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런데 김 여사는 불과 한 달 뒤 잘 알지도 못하는 좌파 목사에게 카톡으로 '전 왜 이런 사람과 결혼을 해서 이 고생을 하는지 ㅠㅠ 후회했고 남편에게 원망스러운 절규를 뿜어내고 살았어요'라며 구구절절 속마음을 털어놨다. 그동안 공개된 내용에 비춰보면 김 여사는 윤 대통령이 늘 챙겨줘야 할 대상이며, 남편과 자신은 동업자라는 인식이 매우 강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정하의 시시각각] 중국발 ‘드루킹 공작’ 두고만 볼건가[김정하의 시시각각] 중국발 ‘드루킹 공작’ 두고만 볼건가얼마 전 김은영(가톨릭관동대)·홍석훈(창원대)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중국 영향력 공작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한·중 간 경쟁이 치열한 전기차·배터리·e커머스 등의 분야에서 중국의 댓글부대가 조직적으로 기사 댓글을 달아 한국 여론을 호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뿐 아니라 중국 댓글부대는 한국의 정치·사회·국제 이슈에도 댓글을 달았는데, 한국의 보수 정치권을 비난하거나 사회 갈등과 반미·반일을 부추기는 내용이었다. 지난해 연말 윤민우 가천대 교수 연구팀도 네이버에서 조직적으로 움직인 중국 댓글부대를 확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정애의 시시각각] 레바논도 천년 낙원이었다[고정애의 시시각각] 레바논도 천년 낙원이었다0.1%의 가능성이 모든 걸 바꿀 수 있다는 ‘검은 백조’를 말한 나심 탈레브는 레바논 출신이다. 탈레브는 '아랍인들은 오직 전쟁(그리고 시), 그 뒤를 이은 오스만 제국 역시 오직 전쟁(그리고 유흥)에만 관심을 둔 터라 우리 선조들은 무미건조한 상업 활동과 덜 위험한 학술 활동(그리스 고전 번역)에 전념할 수 있었다. 근원을 알 수 없는 검은 백조 한 마리가 출현하면서 천국에서 지옥으로 바꾸었다'는 게 탈레브식 표현인데, 따지고 보면 돌연한 것도, 근원을 알 수 없는 것도 아니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현기의 시시각각] 똑똑한 바보들[김현기의 시시각각] 똑똑한 바보들'여당 대표라 하면 야당 당수인 이재명과 각을 세워 여당 대선후보가 돼야지, 어떻게 같은 편인 대통령에게 각을 세워 후보가 되려고 하느냐'. 면담 몇 시간을 앞두고 한 대표가 이 대표의 여야 영수회담 제안을 빛의 속도로 전격 수용한 것은 윤 대통령 입장에선 '와~ 이렇게 나를 압박하나'란 생각이 들었을 것이다. 윤 대통령은 한 대표와의 면담에서 '(김 여사 특검법에) 여당 의원들 생각이 바뀌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상렬의 시시각각] 과연 삼성만 위기인가[이상렬의 시시각각] 과연 삼성만 위기인가첨단이 아닌 범용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의 공세가 삼성 실적을 흔들었다는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D램 시장에서 중국 메모리업체 점유율이 올 3분기 6%에서 내년 3분기엔 10%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8월까지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점유율은 65.1%, 한국은 21.1%다. - 이상렬의 시시각각,삼성,메모리업체 점유율,범용 반도체,삼성 위기론,중국,기술 경쟁력,주 52시간제,인재,제조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정애의 시시각각] 대통령의 놀라운 위기 자초 능력[고정애의 시시각각] 대통령의 놀라운 위기 자초 능력더욱이 대통령실이 공개한 사진은 윤 대통령이 팔을 벌린 채 양손으로 테이블을 누르며 이글거리는 눈으로 한 대표를 쏘아보는 장면이었다. 그러다 보니 대통령의 참모가 김 여사의 참모이고 김 여사의 참모가 대통령의 참모인 비정상 구조를 낳았다. 다수의 민심은 물론 여당 지지자도 그 구조를 용납할 수 없다고 하는데, 윤 대통령이 반응하지 않으면서 김 여사는 더한 비난과 혐오의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1 05:4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