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네 번째 키워드 밥상물가 잡을 수 있을까. 저희가 금사과 관련 소식은 여러 차례 전해 드렸어요. 그런데 요즘 화두는 김입니다. 김값이 얼마나 올랐길래 ...
네 번째 키워드 밥상물가 잡을 수 있을까. 저희가 금사과 관련 소식은 여러 차례 전해 드렸어요. 그런데 요즘 화두는 김입니다. 김값이 얼마나 올랐길래 이렇게 화두가 되는 건가요?그렇죠. 준비된 자료를 한번 보실까요. 대파, 무는 그나마 조금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김의 경우는 다릅니다.맞습니다. 비축량은 출하하면서 아무래도 가격이 내려갔죠. 김의 경우 한번 보시겠습니다. 김의 경우는 소비자물가 평균의 3배가 올랐습니다, 지난달에만. 소비자물가 평균이 2.9% 올랐는데 김만 놓고 보면 10% 올랐다, 이런 통계 보여드렸습니다.마른 김 100장 묶어서 파는 거 말씀하시는 거죠? 그게 1만 원이 넘었습니다.싼 곳이 기본 김밥이 3000원이고요. 대부분 4500원, 4800원대고 최고가는 7300원, 이런 곳도 있었습니다. 사실은 1만 원 넘는 김밥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니까 김밥도 이제는 만만한 음식이 아닌 거예요.
상품성이 떨어지는데 아무래도 기상조건이 안 좋다 보니까 이런 마늘이 주로 생산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는데. 그래서 정부에서도 마늘의 경우는 기상재해로 일어난 것이라고 인정을 해서 지자체별로 피해조사를 해서 어느 정도 농가를 지원하려는 그런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우리나라 김이 유난히 인기가 많잖아요.그리고 수출 물량도 굉장히 늘었거든요. 외국에서도 김밥이 인기를 끌면서. 그러니까 내수로 출하되는 이런 김의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김이나 마늘이나 전국 비축 물량이 많지가 않아서 상당 기간 김값하고 마늘값은 잡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YTN 검색해 채널 추가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외신 '총선 참패한 윤 대통령, 외교 정책도 험난'레임덕 위기에 트럼프 복귀 가능성까지... 변수 '가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총선 후 부동산 시장 ‘이곳’이 뜬다는데…인기 비결은 새 아파트라서?규제 완화 발목에 금리 주목 수도권 재건축 기대감 꺾일듯 공급절벽·전월세 동향 등 변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회계사 수장 '3파전'…벌써부터 후끈공인회계사회 선거 두달 앞후보 등록도 전에 경쟁 시작회계사 선발 축소 내세울 듯신외감법 관련 입장도 변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쟁 중인데 오르네… 러시아 펀드 수익률 반등전쟁 장기화로 원유·금속값 상승원자재 비중 큰 러 증시 오름세제재 리스크 속 高변동성은 변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대문구 전국 최초 재개발·재건축 백서 펴냈다재개발 28곳·재건축 12곳서 추진 북아현뉴타운 입지 좋지만 갈등 변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은 총재가 꺼내든 ‘사과수입’…금리 동결시켜 놓고선 왜?한은, 금리 10회 연속 동결 “하반기 인하 예단 어려워” 두달째 3%대 고물가 부담 美 금리인하 지연도 변수 국제유가 변동성도 발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