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 2년 연속 상승… AI 붐 덕분에 1997년 이후 최고 성장

경제 뉴스

S&P 500 지수, 2년 연속 상승… AI 붐 덕분에 1997년 이후 최고 성장
경제주식시장S&P 500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9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5%
  • Publisher: 51%

S&P 500 지수는 2023년 24.2% 오른 데 이어 지난해에도 AI(인공지능) 붐에 힘입어 23.3% 상승하며 2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S&P 500 지수는 2023년 24.2% 오른 데 이어 지난해에도 AI( 인공지능 ) 붐에 힘입어 23.3% 상승했다. 2년간 무려 58% 올랐다. 인터넷 붐이 일었던 1997~1998년(66% 상승) 이후 가장 좋은 성적이다. S&P 다우존스 인덱스에 따르면 S&P 500 지수 편입 기업들의 시가총액 합계는 지난해 10조 달러가 불어났다. 다만 시총 상위 7개 종목을 제외하면 S&P 500 지수는 2년 전보다 24% 하락한 수준이 된다. 지수 상승이 초대형주에 의해 주도됐다는 의미다.블룸버그는 지난달 18~31일 투자자 553명을 대상으로 벌인 자체 설문조사 결과, 61%가 올해 말 S&P 500 지수가 미국 경제 성장과 기업이익 증가에 힘입어 작년 말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전했다.반면 올해 말 S&P 500 지수가 1년 전보다 낮은 수준이 될 것이라는 예상은 29%였다.

또 올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미국 달러화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51%가 관세 선호의 영향을 거론하면서 달러 가치를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두고 달러화 강세 요인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지만 반대로 달러화 약세 요인으로 판단하는 시각도 적지 않은 모습이다.이달 말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에 대해선 57%가 인플레이션 재상승 위협으로 작년 말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한 반면 43%는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한편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현재 미국은 경제 정책 불확실성이 높은 수준'이라며'향후 수개월 동안 지금 수준의 불확실성이 이어진다면 주식 투자를 피하는 게 현명할 수 있고, 반대로 불확실성이 낮아진다면 주식, 특히 소형주 투자가 가장 유망하다'고 분석했다.경제 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경제', '정책', '불확실성' 단어를 포함한 신문 보도 수량을 집계해 산출한 지수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용한다고 소개했다.예컨대 미국 대형주 펀드들의 월간 수익률(평균치)을 보면 불확실성 지수가 75% 이상일 때는 1.42%로, 불확실성 지수가 25% 이하일 때의 1.52%에 비해 낮았다. 월간 0.1%포인트 차이지만 12개월로 따지면 1.2%포인트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잔디는 1990년대 후반 닷컴 거품이 팽창하던 시기 이후 이처럼 고평가된 주식시장에 대해 걱정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UBS 글로벌 주식 전략가 앤드류 갈스웨이테는 지난달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1970년대 미국, 1980년대 일본, 1990년대 후반 닷컴 거품 붕괴를 예로 들면서'거품 붕괴시 투자자들이 투자금의 80%를 잃는 경향이 있다'고 적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경제 주식시장 S&P 500 AI 인공지능 성장 불확실성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출심사의 모든 것을 분석했다”...캐피탈 회사가 AI저널 논문 냈다는데“대출심사의 모든 것을 분석했다”...캐피탈 회사가 AI저널 논문 냈다는데현대캐피탈, AI 업계·학계서 신뢰받는 저널에 2년 연속 논문 게재…AI 대출심사 전략 제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10년 초과 보유 집, 올해 11월에 가장 많이 팔렸다서울 10년 초과 보유 집, 올해 11월에 가장 많이 팔렸다직방, 서울 집합건물 매도인 분석 11월 30.5%…2021년 9월 이후 최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화 가치 폭락, 친위쿠데타 이후 내란으로 곤두박질원화 가치 폭락, 친위쿠데타 이후 내란으로 곤두박질윤석열 정부 들어 약해지던 원화 가치가 친위쿠데타 이후 심각하게 폭락, 1450원을 넘어 1997년 외환위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는 처음으로 떨어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팔란티어 더 간다? vs 고점이다?···서학개미는 ‘매수’ 승부수 띄워팔란티어 더 간다? vs 고점이다?···서학개미는 ‘매수’ 승부수 띄워팔란티어 올해만 358% 주가 상승 S&P500 이어 나스닥100 지수 편입 PER만 253배···80배 엔비디아보다 높아 서학개미는 4분기 팔란티어 순매수 1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JB금융지주, DJSI 코리아 지수 편입JB금융지주, DJSI 코리아 지수 편입JB금융지주,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 글로벌(S&P Global)이 발표한 2024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중 코리아 지수 편입. 국내외 ESG 평가기관으로부터 우수한 ESG경영 역량 인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화 가치, 연말 연간 최저치 기록원화 가치, 연말 연간 최저치 기록올해 마지막 외환시장 거래일인 30일, 원화 가치가 1470원대로 밀려 199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6 14:5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