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모델은 미국 또는 스웨덴이었다. 현실적인 타협안으로서의 모델은...
“오랫동안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모델은 미국 또는 스웨덴이었다. 현실적인 타협안으로서의 모델은 독일 정도에 가까웠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길을 따라갈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가장 높아 보인다.” 조귀동 작가는 에서 이대로 간다면 한국사회의 미래는 이탈리아의 지금 모습과 가장 닮아 있을 거라고 진단했다. 이탈리아는 선진국이긴 하지만, 더 이상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낡은 선진국이다. 경제는 활력을 찾지 못하고 정치는 포퓰리즘의 굴레에 빠져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출산율 최하위 국가이기도 하다. 지난 10월 20일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에서 조귀동 작가를 만났다.“에스핑 안데르센은 복지국가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미국·영국의 시장중심 자유주의, 프랑스·독일 등 사회보험 중심 보수주의, 스웨덴을 비롯한 북유럽 사민주의다. 여기에 마우리치오 페레라는 남유럽형 가족주의를 더했다. 한국의 복지제도는 남유럽형, 즉 이탈리아에 가장 가깝다.
”“한국이 선진국에 가까워질수록 ‘노무현 질서’가 안고 있는 모순은 첨예해진다. 한국사회가 선진국이 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 유권자들의 이해관계 변화와 그에 따른 정치적 지지의 변화 등이 기존 정당들의 기반을 허물어뜨렸다. 민주당을 예로 들면, 민주당은 대도시 상위 중산층과 호남 출신 저소득층이 핵심 지지층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불평등이 심화했고, 이에 따라 두 지지층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벌어지면서 이 결합은 유지될 수 없게 됐다. 단순히 불평등의 심화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분배·재분배 기제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과거 민주당 정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상급식’ 같은 복지 정치의 비전이 있었다. 복지 정치의 수혜층을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사회복지의 주된 수혜층은 중산층이다. ‘복지 정치’라는 기제를 바탕으로 지지연합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개 식용 금지’ 앞장선 김건희 여사, 유럽서 주목하며 “상상할 수 없는 일 해내”이탈리아 매체, 김 여사 동물행보 대대적 보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피자와 파스타에 이 와인이면 말이 필요없지요[와인이 음식을 만나는 순간] 이탈리아 요리와 키안티 클라시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가 아침마다 이-팔 전쟁 뉴스를 검색하는 이유중동분쟁은 한국 사회가 겪는 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 최선희, ‘북·러 무기거래 규탄’ 한미일 성명에 “간섭할 권리 없다” 비판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북한이 러시아에 군사장비·군수물자를 제공한 것을 규탄한다며 한국·미국·일본 외교장관이 발표한 성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동칼럼] 민생으로 돌아가라?해변에 세 개의 아이스크림 가게가 같은 간격을 두고 양쪽 끝과 한가운데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산혁명’ 주역 '홍콩 젊은세대, 민주화 포기 안해…'생활 시위' 전환'2014년 홍콩의 민주화 운동 ‘우산혁명’의 주역인 찬킨만(陳健民·64) 대만 국립정치대 교수는 홍콩의 대표적인 행동파 지식인으로 꼽힌다. 지난 2019년 구속돼 11개월 간 옥고를 치렀던 그는 출소 이후 대만으로 건너가 사실상 망명 생활을 하고 있다. 현재 홍콩 민주화 운동은 ‘일상적 저항(everyday life resistance)’으로 전환되고 있다. - 홍콩,민주주의,한국,중국,일국양제,민주화운동,우산혁명,킨만,더차이나뉴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