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시오, 포퓰리즘 없이 무슨 선거를 한단 말이오.” 대기업 CEO를 오래 지낸 노년의 경영인이 점심을 먹다 이런 말을 한다. 그는 보수주의자다. 그 앞에 ‘실용적’이라는 수식을 붙이는 편이 좋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아는 모든 경영인은 실용적이고 보수적이다. 왕년에 그가 경영했던 기업의 노조는 지금도 강성으로 악명이 높다. 그 노조의 버릇을 잘못 들인 데
대기업 CEO를 오래 지낸 노년의 경영인이 점심을 먹다 이런 말을 한다. 그는 보수주의자다. 그 앞에 ‘실용적’이라는 수식을 붙이는 편이 좋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아는 모든 경영인은 실용적이고 보수적이다.
왕년에 그가 경영했던 기업의 노조는 지금도 강성으로 악명이 높다. 그 노조의 버릇을 잘못 들인 데는 그의 책임도 일정부분 있을 것이다. 그는 인정했다. “그렇소. 우리가 노조에 후했지. 웬만한 것은 들어줬다고. 그때 원칙을 따지다 파국에 이르렀으면 지금 저 회사가 없을 것이오. 그 노조를 품고도 세계적 기업이 된 것, 그게 위대한 거요.” 이런 말은 교과서나 신문 사설에 쓸 수 없다. 그것은 너무 현실적인 이야기다. 신문은 늘 ‘완전한 원’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 원을 채우는 들쭉날쭉한 세부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세부는 교훈적이지도, 논리적이지도 않다.“선거를 앞두고 돈줄을 줄이는 건 바보들이 하는 짓이라오. 그러면 선거에 지게 되어있소. 확장재정이 보수 정부의 원칙을 10%쯤 훼손한다고 칩시다. 선거에서 지면 90%가 훼손될 것이오. 90% 훼손을 막기 위해 10% 훼손을 감수하는 것, 그게 정치요.”
다시 말하지만 신문은 이런 이야기를 쓸 수가 없다. 나는 원칙이 훼손될 때 모든 것이 산산이 흩어져버린 사례를 몇 가지 알고 있다. 10년쯤 전이라면 아는 척을 했겠지만 묵묵히 듣기만 했다. 세상이 대개는 ‘케바케’라는 것, 거기서 무슨 일관된 공식을 도출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을 느끼는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다.“균형을 유지하면서 계속 항해하기 위해 그는 배의 방향을 상황에 따라 이리저리 바꾼다…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가장 중요한 목적을 그대로 간직한 채 상황에 적응하는 것이다.” 처칠은 노예제 폐지라는 목표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 모순되고 기회주의적 면모를 보인 링컨을 이렇게 평가했다. 난파당하느니 백번이라도 둘러 가는 게 옳다고 링컨은 생각했고 처칠은 그런 링컨이 옳았다고 생각했다.헨리 키신저의 역작 ‘외교’에 나오는 문장이다. 정치의 본질을 이처럼 투명하게 보여주는 문장도 드물다. 윤석열 정부가 아닌 문재인 2기 정부가 나왔으면 나라가 망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지만 그들은 소수다. 나라가 망했을 것이라고 증명하는 게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뭔가를 보여줘야 하고 그러려면 선거에 이겨야만 한다. 역사에선 승리가 선이고, 패배가 불의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교과서나 신문 사설에는 안나오지만 현실이 그렇다는 것을 누구나 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초딩 비거리'라던 고진영 정교한 샷으로 '버디쇼'LPGA 더 안니카 1라운드보기 없이 7언더 공동 2위코다·그랜트에 거리 밀려정확도 높은 샷으로 만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방의회 선거에 '경쟁' 도입했다는 北...알고보면 '통제 강화'[앵커]북한이 우리의 지방의회 격인 지방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앞두고 연일 분위기를 띄우고 있는데요.이번 선거에선 특히 초보적 수준에서 나름의 경쟁 체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정부·여당이 앞장서는 포퓰리즘 정책들민주당은 지난 8일 토론회를 열어 '특정 업종이 아무런 노력 없이 과도한 불로소득을 누리는 것을 사회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이개호 정책위의장)라며 횡재세 도입을 위한 법 제·개정 의사를 밝혔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횡재세 도입 추진 방침을 거론했다. 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앉아서 돈 벌고 그 안에서 출세하는 너무 강한 기득권층'이라는 원색적 표현까지 써가며 은행권 전체를 죄악시하자 야당은 물론 이에 부정적이던 금융당국까지 횡재세 도입을 만지작거리기 시작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정부·여당이 앞장서는 포퓰리즘 정책들민주당은 지난 8일 토론회를 열어 '특정 업종이 아무런 노력 없이 과도한 불로소득을 누리는 것을 사회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이개호 정책위의장)라며 횡재세 도입을 위한 법 제·개정 의사를 밝혔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횡재세 도입 추진 방침을 거론했다. 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앉아서 돈 벌고 그 안에서 출세하는 너무 강한 기득권층'이라는 원색적 표현까지 써가며 은행권 전체를 죄악시하자 야당은 물론 이에 부정적이던 금융당국까지 횡재세 도입을 만지작거리기 시작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유사·은행에 횡재세 … 여야 포퓰리즘 경쟁 점입가경 [사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정유사와 은행에 대해 횡재세 도입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10일 밝혔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 가리지 않고 포퓰리즘 정책을 쏟아내고 있어 선거 뒤 치러야 할 값비싼 대가가 걱정스럽다. 이 대표는 이날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유가 상승, 고금리 때문에 정유사와 은행들이 사상 최고 수익을 거둔 점을 거론하며 '은행권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곳간 열어 114조원 더 풀지만… 재집권 ‘빨간불’ 日 기시다 총리내년 9월로 예정된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지지율 반등을 위해 13조엔(약 114조원)대 경제대책안이 담긴 추가경정예산까지 내놨지만 일본 언론들은 10일 기시다 총리 재선에 암운이 드리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총재 선거를 1년도 안 남긴 상황에서 일본 언론들은 기시다 총리가 중의원(하원)을 해산하고 선거를 치러 당의 장악력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다. 실제로 교도통신에 따르면 자민당 다케다 료타(武田良太) 전 총무상은 지난 9일 인터넷 방송에 출연해 ‘기시다 총리 하차’ 질문에 '아직 충분한 경제대책을 다하지 않은 상황에서 기시다 하차는 언어도단(言語道断)'이라며 선을 그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