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거부 자유 있다” 홍준표 시장에 ‘언론 길들이기’ 비판

대한민국 뉴스 뉴스

“취재거부 자유 있다” 홍준표 시장에 ‘언론 길들이기’ 비판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ediatodaynews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63%

홍준표 대구시장이 TK신공항을 검증한 대구MBC를 겨냥해 공무원들에게 ‘취재거부’를 지시했다. 비판 보도를 취재거부로 맞서는 홍 시장의 언론관에 비판이 나온다.

매주 일요일 오전 편성되는 ‘대구MBC 시사톡톡’은 지난달 30일 ‘뉴스비하인드’ 코너에서 최근 국회를 통과한 TK신공항 특별법을 검증했다.

대구MBC는 대구시 약속과 달리 특별법에는 ‘3.8km 활주로’ 관련 내용이 빠져 중장거리 운행이 불가능해졌고, 공항 등급을 의미하는 ‘중추공항’ 문구도 삭제됐다고 지적했다. 이 기자는 “현재 대구 동구에 위치한 대구공항 규모를 조금 키워 군위와 의성으로 옮기는 것에 불과하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라며 “공항의 진짜 주인은 이용객들인데 이용객으로선 크게 나아질 것 없는 사업이다. 건설업자만 엄청나게 배를 불릴 수 있는 건데 4대강 공사보다 훨씬 더 큰 시장이 열렸다고 볼 수 있다”고 비판했다. 홍 시장의 이런 지침은 ‘언론 길들이기’라는 비판이다. 이태우 대구MBC 기자는 2일 통화에서 “우리는 지난 방송에선 홍 시장의 선거법 위반 논란을, 이번 방송에선 TK 신공항 검증 보도를 내보냈다”며 “이참에 대구MBC를 제대로 길들여야겠다는 생각을 한 것 같다. 그러나 지자체장이 언론 취재를 거부하겠다고 선언하는 건 공인 자세로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ediatodaynews /  🏆 8.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취재거부 자유 있다” 홍준표 시장에 ‘언론 길들이기’ 비판“취재거부 자유 있다” 홍준표 시장에 ‘언론 길들이기’ 비판홍준표 대구시장이 TK 신공항을 검증한 대구MBC를 겨냥해 공무원들에게 ‘취재거부’를 지시했다. 비판 보도를 취재거부로 맞서는 홍 시장의 언론관에 비판이 나온다.매주 일요일 오전 편성되는 ‘대구MBC 시사톡톡’은 지난달 30일 ‘뉴스비하인드’ 코너에서 최근 국회를 통과한 TK신공항 특별법을 검증했다. 이태우 대구MBC 기자는 방송에서 “첫 삽도 뜨기 전에 구실을 하기 어렵다는 말씀을 드리기 참 송구하다. 걸음마도 하기 전에 싹수가 노랗다고 말하는 것 같다”면서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TK 신공항을 통하면 대구시민이 미주와 유럽으로 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한미동맹, 민주주의·자유·안보에서 탄생‥무엇보다 자유'바이든 '한미동맹, 민주주의·자유·안보에서 탄생‥무엇보다 자유'윤석열 대통령이 국빈방미를 마치고 귀국길에 오른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늘 트위터에 '미국과 한국의 동맹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바 우리사주 물량 시장에 풀린다…오늘부터 매도 가능 | 연합뉴스삼바 우리사주 물량 시장에 풀린다…오늘부터 매도 가능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임직원들이 보유한 우리사주의 보호예수가 해제돼 2일부터 매도할 수 있게 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 '항미원조' 드라마 긴급 방영‥'친미정책 보복 직면할 것'중, '항미원조' 드라마 긴급 방영‥'친미정책 보복 직면할 것'중국은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를 놓고 '압도적인 친미 정책을 펴고 있다'며 '보복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중국 관영방송에서는 중국군의 한국전쟁 참전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도 양부모도 우릴 버렸다”…국외 입양인 5명의 ‘팔린 삶’“한국도 양부모도 우릴 버렸다”…국외 입양인 5명의 ‘팔린 삶’[한겨레S] 커버스토리2차 대전 이후 국제 입양된 아동 45만, 그중 25만명이 한국인“백인 비싸고 흑인 싫어 아시안 구매”…학대·트라우마 지속된 일상“우리는 범죄 피해자”…2025년 아동 송출 멈추겠다는 정부 비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0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