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동안 청약 부적격 판정을 받은 사람이 6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청약 당첨 후 부적격 판정을 받은 이는 모두 5만5763명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1만9101명에서 2021년 2만 1211명, 2022년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청약 당첨 후 부적격 판정을 받은 이는 모두 5만5763명이었다.
공급 유형별로는 ‘노부모 부양 특별공급’이 신청자 대비 부적격 판정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도별로 2020년 3.8%, 2021년 5.3%, 2022년 5.8%, 2023년 1~6월 7.0%로 급증했다. ‘생애 최초 특별공급’도 2020년 0.5%에서 올해 1~6월 2.3%로 늘었다. 청약 신청 과정 중 무주택 기간이나 부양가족 수를 잘못 산정하거나 부부합산 소득을 잘못 기재한 경우 등이다. 재당첨 제한을 어긴 경우, 특별공급 횟수 제한을 어긴 경우, 무주택세대구성원의 중복청약 등이 있었다. 업계 전문가들은 부적격 당첨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청약가점을 정확히 계산해 두는 수밖에 없다고 조언한다. 청약가점은 84점을 만점으로 무주택 기간과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을 산정해 계산한다. 이때 무주택 기간은 만 30세부터, 청약통장 가입 기간은 만 20세부터 점수를 계산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쪼그라든 한국 M&A시장…2년만에 5분의 1로 줄었다잇단 금리 인상에 대기업들 지갑 닫은 탓 2021년 3분기 19조→2023년 3.5조로 조단위 빅딜 실종…3년간 6건→2건→0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사기에 인기 높아진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 청약LH, 4일부터 접수 시작…총 3044호 내달 말 당첨자 발표…12월부터 입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년·신혼 대상 매입임대 3773가구…오늘 청약 실시시세 30~80% 가격에 공급전세사기 사태에 수요 급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내 기업 ‘고객정보’ 지난 3년간 6500만건 줄줄 샜다김종민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전 국민 개인정보 악용 상태 놓인 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전세금 보증사고 3.8조 추정...'3년간 10조 육박'[앵커]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전세금 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