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100일간 3486건 의원발의…역대 국회중 최다 총장 인기투표, 성묘 조화 금지…황당한 법안도 다수
총장 인기투표, 성묘 조화 금지…황당한 법안도 다수 발의건수에만 집착하는 국회의 과잉입법이 부실 입법을 양산하고 있다. 입법 취지와 무관하게 규제만을 위한 법으로 전락한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청탁금지법, 임대차법 등이 대표적 사례다.
1일 정부와 정치권에 따르면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7월 국립대 총장을 뽑을 때 학생 투표 결과를 50% 이상 반영하도록 하는 교육공무원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총장 선출 과정에서 민주성을 제고하겠다는 취지지만,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유를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는다.한정애 민주당 의원이 지난 4일 내놓은 동물보호법 개정안도 과잉입법 사례로 꼽힌다. 정상회담 등에서 상대국에 동물을 선물하는 ‘동물외교’가 외교적 관행인데, 이를 지양하자는 조항을 신설했다. 정상들 간 선물을 주고 받는 것까지 국회가 법으로 제한하는 건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국회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2대 국회 개원 후 지난 달 6일까지 임기 100일 동안 의원입법 발의는 3486건이다. 과거 최다였던 21대를 넘어서며 역대 가장 많은 법안을 쏟아냈다. 이같은 과잉입법이 부실 입법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의정활동을 국회 본회의 출석률과 법안 발의 건수 등의 양적 지표로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질적 지표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법안을 내기 전에 입법의 영향과 효과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는 등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좀 더 의미 있는 법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회미래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의원 1인당 4년 평균 법안 발의 건수는 한국이 80.5건으로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일본 등을 압도한다. 국회의원 1인당 검토해야 할 법안이 영국의 91배, 독일의 67배, 일본의 62배나 된다는 뜻이다. 국회 상임위별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상정법안당 심사시간은 17대 국회에서 22.7분이었지만 20대 국회에선 13.1분밖에 되지 않았다. 양질의 법안이 나올 수 없는 구조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토큰증권 법제화 속도내자 증권사들 '분주'여야 토큰證 법안 발의 나서자컨소시엄 꾸려 인프라 구축블록체인 플랫폼도 곧 마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의대 대안없다 말해” “한동훈, 정부눈치 엄청본다”…회담 하루만에 신경전양당 대변인 ‘아전인수’ 해석 채상병 특검 놓고도 진실공방 민주 “韓, 법안 낸다고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가 상품 쏟아내는 中 테무·쉬인 맞서 '면세 구멍' 틀어막는 美12일(현지시간) 미국 정부는 무역법 301조나 201조,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관세를 적용받는 수입품의 경우 면세 한도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규정안을 발표했다. 현재 미국은 개인이 1일 수입하는 제품의 가치가 일정액을 넘지 않는 경우,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면세 한도 규정을 두고 있다. 고위당국자는 브리핑에서 중국 외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는 제품도 새 규정을 적용받느냐는 질문에 '어디서 오든 이들(무역법 301조와 201조, 무역확장법 232조) 규정에 근거를 둔 조치를 적용받는 모든 수입품은 면세 한도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답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닷컴버블 이후 가장 뜨겁다' 美S&P500, 2년연속 20%넘게 오르나(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미국 뉴욕 증시가 '닷컴 버블' 이래 가장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강세장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를 두고 관심이 커지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러니 개미들 짐 싸지”…미국은 반등세 탔는데 국내증시 죽쑤는 이유경기침체·밸류업 실망…시장여건 악화일로 경기 연착륙 기대감…S&P 500 사상 최고치 경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러니 한국이 호갱”…빅테크 과징금 해외선 30%, 국내선 3%공정위 2021년부터 4년간 매출 3% 넘는 과징금 ‘전무’ 대형 플랫폼 솜방망이 제재 野 천준호 “생색내기 그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