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3분기까지 41조원 발행, 조달자금 75%가 차환용 시설 투자엔 두달연속 ‘0’ … “고금리에 재무안정 우선”
시설 투자엔 두달연속 ‘0’ … “고금리에 재무안정 우선” 국내 상장사들이 회사채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 대부분을 ‘빚 돌려막기’에 쓴 것으로 드러났다. 시설투자나 운영자금으로 활용한 비중은 급감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들어 3분기까지 국내 상장사들이 발행한 회사채 규모는 총 41조1665억원이다. 이 중 75.4%인 약 31조원이 기존 채무상환을 목적으로 발행됐다. 차환용 회사채 발행 비중은 2021년 53.6%에서 2022년 60.6%, 2023년 70.5%로 매년 커지고 있다. 반면 시설투자 목적으로 발행한 회사채 비중은 2022년 20.8%에서 2023년 10.5%로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 3분기까지 시설투자용 회사채 발행 비중은 7%에 그쳤다. 지난 8월과 9월 시설투자를 위한 회사채 발행은 ‘0’였다. 이는 경기부진 등으로 국내 상장사들의 자금 사정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미국 대선을 비롯한 국내외 정치·안보적 상황을 감안할 때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해 성장동력에 대한 투자보다는 재무구조 안정화를 우선시한 것으로 풀이된다.운영자금 목적으로 발행한 회사채 비중도 줄어들었다. 지난 2021년 운영자금용 회사채 발행 비중은 27.7%였지만 지난 해 19%, 올해 3분기까지 17.6%로 축소됐다. 운영자금은 원자재 구매나 영업활동 등에 사용되는데 경기 부진으로 사업 여건이 좋지 않았던 탓이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올해 만기도래하는 회사채 규모가 사상 최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기업들의 현금창출 능력은 약화되어 대규모 차환 발행이 불가피해졌다”며 “기업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해 유동성 확보에 주력해야 하기 때문에, 빚을 상환하고 남은 자금마저도 투자에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한경협에 따르면 11월 매출 600대 기업의 기업경기실사지수 전망치는 91.8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4.4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2023년 10월 이후 13개월만에 최대 낙폭을 보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과징금 때리면 뭐해, 안 내면 그만인데”…공정위, 올해 못 걷은 돈이 무려올해 못 걷은 과징금 5300억 징수유예·임의체납액도 껑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알맹이 빠진 밸류업 공시에 주가 '시들'최근 기업들 공시 쏟아냈지만이미 언급했던 내용이거나배당 '검토' 등 모호하게 표현3분기 실적도 기대 못미치자LG전자·롯데칠성 주가 하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진우칼럼] 가계부채 탕감의 유혹감당 못하는 가계부채 급증그 이면에 빚 탕감 기대감정치적 야합 가능성도 커져약자 보호하되 무임승차 차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증으로 ‘국민주’ 되겠다는 고려아연, ‘최윤범의 회사’로 보이는 이유유증 자금 대부분 자사주 빚 상환에 활용…법정서 경영권 방어 목적 여부 다툴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기 반환점 앞두고 '뚝'…반복되는 지지율 패턴 분석[앵커]아직 임기 반환점도 돌지 않은 대통령의 지지율이 20%까지 떨어지는 것은 이례적입니다.부정 평가 1위로 '여사 문제'가 꼽힌 것도, 특정 연령대에서 지지율이 한 자릿수까지 떨어진 것도 이례적이라는 평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빌리티·양자·AI·수소 …충청 '혁신성장 거점' 질주대전 대덕· 청주 오송·오창산단 등충청 'C벨트' 중심으로신산업 클러스트에 기업들 몰려충남· 충북 민선 8기 2년간기업유치 협약 실적 1031개 달해투자 예정 금액만 70조원 육박8만여개 새 일자리 창출 기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