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범국민대회는 정부가 ‘제3자 변제안’이라는 강제동원 해법을 공식 발표하고 열흘 뒤인 지난 16일 개최된 한일정상회담의 결과를 비판하며 이뤄졌습니다. 🔽 시민들의 외침은
일 대사관에 행진한 1만여명 시민 18일 오후 '강제동원 해법 및 한일정상회담 규탄 3차 범국민대회' 참가자들이 서울시청 광장에서 출발해 일본대사관을 향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한일정상회담이 끝난 다음날인 18일, 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윤석열 정부의 망국외교를 심판하자”며 규탄 집회를 열었다. 이날 낮 610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주최로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범국민대회엔 주최자 쪽 추산 약 1만명의 시민들이 모였다. 수도권과 경북, 제주도 등 각지에서 온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회와 민주노총 등 노동·청년단체들의 깃발이 나부꼈다. 이번 범국민대회는 정부가 ‘제3자 변제안’이라는 강제동원 해법을 공식 발표하고 열흘 뒤인 지난 16일 개최된 한일정상회담의 결과를 비판하며 이뤄졌다.
이럴 때 계속 일본에게 머리 숙이면서, 어느 나라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 것인가”라고 되물었다. 일본의 사죄와 배상 모두 없었던 이번 회담 결과와 윤 대통령의 역사인식을 비판하며 정권 심판론도 나왔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결의문을 내 “한일정상회담은 역사적 참사다. 역사와 정의, 경제, 군사안보, 피해자 인권 모두 팔아넘겨 국민에게 깊은 상처를 주었다”며 “심지어 2015년 한일위안부합의 이행 요구와 독도 문제 해결이란 새 숙제도 들고왔다. 사죄, 배상을 거부하며 영토 주권마저 위협하는 일본 정부에게 모든 걸 쥐어주는 윤 대통령은 더이상 자격이 없다. 자리에서 내려오라”고 했다. 최배근 건국대학교 교수는 “전쟁 범죄자에게 입은 인권유린을 외면하고, 일본 군국주의 범죄를 방조하는 한국인을 국민들은 매국노라고 부른다”며 “사법부 최고 결정도 지켜내지 못하는 윤 대통령에 어떻게 대통령 자격이 있느냐”고 발언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외교사에 가장 부끄럽고 참담한 순간''다 바치고 빈손''어제(16일) 한일정상회담은 우리 외교사에서 가장 부끄럽고 참담한 순간이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평가한 말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일본 요구대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까지 되살리나기시다 총리 요구대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까지 복원하려는 윤석열 정부...이정도면 복종 아닌가 싶네요. ※ 소액후원으로 민중의소리에 힘을! - 전화 1661-04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에도 없는 'MZ노조'윤석열 대통령이 '최대 주69시간 근무' 정책 추진에 제동을 걸었다. 정부 차원에서 진행하던 근로시간 개편안을 재검토하라며 '60시간 이상은 무리'라고 언급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尹, 끝내 '일본 하수인'의 길 선택…굴욕적 야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18일 한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전날 돌아온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일본에 간 대통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번 방일 통해 관계 개선 전환점'…'일본 비위 맞춘 것'윤석열 대통령 일본 방문을 놓고 크게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최악이던 한일 관계가 개선되는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자평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 월급은 일본에서 받아라'윤석열정부가 일제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해 대법원 판결대로 하지 않고 우리나라 기업이 대신 변제하는 방법을 내놓고, 윤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자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