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자금대출만 1조3691억, 전년比 33%↑ 사기업 주거자금 사내대출, 전분기比 18.7% 증가
사기업 주거자금 사내대출, 전분기比 18.7% 증가 은행권을 거치지 않아 ‘그림자 가계대출’로 불리는 사내 직접대출 규모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숨겨진 부채’인 사내대출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당수 기업들은 직원복지의 일환으로 직원들에게 주거자금이나 생활비를 대출해 준다. 은행 등 금융기관과 연계해 대출을 실행하는 경우 금융위원회 등이 집계하는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되지만, 기업이 자체 보유 자금으로 실시하는 사내대출은 통계에 반영되지 않는다.25일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안도걸 의원이 기획재정부와 SGI서울보증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기업과 공공기관의 ‘사내 직접대출’ 규모가 매년 꾸준히 늘어 지난해 1조8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기업의 대출 규모는 지난해 1조3922억원을 기록하며 2019년 대비 73.8% 증가했다. 특히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주거 관련 대출의 경우 2022년 7402억원에서 2023년 9827억원으로 32.7% 증가했다.
반면 공공기관의 사내 직접대출 규모는 2022년 4903억원에서 2023년 3864억원으로 약 21.2% 줄었다. 생활안정과 주택자금 용도의 대출이 모두 감소한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2021년부터 공공기관에 도입된 시장금리로 기존 저리에서 인상된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올 2분기 사기업 사내 직접대출은 전분기 대비해서 5.8% 감소하며 주춤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6.4% 증가했다. 1인당 대출액 역시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해 4752만원에서 5344만원으로 12.4% 증가했다.안도걸 의원은 “최근 수도권 지역의 주택시장을 보면 여전히 과열된 상태”라며 “정부는 3단계 스트레스 DSR의 조속한 시행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사기업 가계부채의 사각지대도 빠짐없이 촘촘히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집값, 더 올라선 안되는 상황”… 가계대출 단도리 나선 경제금융 수장들폭주하는 가계대출 잡으려 당국, 은행 강하게 압박나서 실수요자 ‘대출 절벽’에 울상 금융당국 오락가락 메시지 대출시장 혼란 가중시켜 최상목·이창용·김병환·이복현 규제 강화 단일한 목소리 낼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창구마다 '제각각 대출' 정리나선다…당국 '대출규제 후퇴없어'6일 경제·금융수장 F4 회의폭주하는 가계대출 잡으려당국, 은행 강하게 압박나서실수요자 '대출 절벽'에 울상금융당국 오락가락 메시지대출시장 혼란 가중시켜최상목·이창용·김병환·이복현규제 강화 단일한 목소리 낼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주택자 수도권 주담대 막힌다…우리銀 이어 KB도 제한(종합)(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가계대출 급증세를 꺾기 위해 은행 등 금융권이 단순히 대출 한도·만기를 줄이는 조치를 넘어 아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주택자도 수도권 주담대 못받는다…우리銀 이어 KB·케뱅 제한(종합2보)(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가계대출 급증세를 꺾기 위해 은행 등 금융권이 단순히 대출 한도·만기를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감원 “대출 과도한 은행 DSR 낮출 것”···사실상 ‘가계대출 총량제’ 부활은행권에 대한 ‘더 센 개입’을 예고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발언이 나온 지 이틀만에 금감원이 대출이 과도한 은행을 별도 관리한다는 사실상의 ‘총량 규제’ 계획을 발표했다. 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계대출 불씨 안 꺼졌다…이달 들어 5대 은행 주담대 2.2조원↑(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노력에 더해 은행권이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